오라클의 물리적인 백업 방법의 하나인 Hot Backup은 열린 백업(Open Backup) 이라고 불리며 사용중인 오라클 서버를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테이블스페이스 별로 데이터파일을 백업 받는 방법 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Archive Mode로 DB가 운용되어야 하며 ARCH Background Process가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Hot Backup을 실행하는 동안 많은 Redo log가 발생할 수 있는데 LGWR가 백업하는 동안 데이터 파일의 변경된 블록 이미지를 Redo log File에 기록하기 때문에 발생 합니다. 그러므로 DBA는 적절한 크기의 Redo Log나 Redo Log Buffer 크기를 지정해야 합니다.

---------------------------------------------------------------------------------------------------

●델타 백업

PC 데이터의 풀 백업은 최초 설치 후 단 한 차례만 수행된다. 그 이후에는 ‘델타 백업(Delta Backup)’이라 불리는 블록 단위의 인크리멘털 백업 기술을 사용한다. 델타 백업을 사용하는 경우 변경된 파일 전체를 백업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안에서 변경된(또는 추가된) 페이지 블록만을 백업하기 때문에 백업 시간과 저장공간을 극단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약 3GB의 데이터가 저장된 PC 환경에서 평균적인 일일 단위 델타 백업 데이터량은 약 800KB에 불과하다. 이는 100Mbps LAN 환경에서 불과 0.2초의 짧은 시간에 백업이 가능한 분량이다.

그림 4는 델타 백업의 원리와 그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매일마다 업데이트되는 파일을 전체 백업 또는 증분 백업을 사용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반복적으로 백업할 수밖에 없는데 반해, 델타 백업을 사용하는 경우 1회 전체 백업 이후로는 변경된 블록만을 백업하기 때문에 백업 속도를 향상시키고 스토리지 사용량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번 클릭으로 백업과 복구
: 윈도탐색기에 통합된 백업 메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백업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특정 파일 또는 폴더를 간편하게 백업/복구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적용을 위한 용량 및 백업 소요시간 산정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백업에 소요되는 자원을 얼마나 절감할 수 있는지 가상의 구성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기로 하자. 평균 데이터 크기가 3GB인 200대의 PC 클라이언트를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상 디스크 용량과 백업 소요시간을 산정한 사례는 그림 7과 같다. 싱글 인스턴스 스토리지를 사용한 최초 백업은 단 한 차례만 수행되며, 그 이후로는 델타 백업을 사용하여 백업이 수행된다.

·최초 백업

넷백업 프로페셔널 구성 후 최초 백업을 수행하는 경우 각 PC의 데이터가 전체 백업의 형태로 백업 서버에 전달된다. 이때 싱글 인스턴스 스토리지가 동작하며 일반적인 구성의 경우 그림 7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약 80%의 디스크 공간과 백업 시간을 절감해 주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약 200대의 PC를 백업하는 환경에서도 약 120GB의 디스크 공간과 10시간 이내의 백업 시간으로 충분히 전체 백업이 가능하다.

·일일 백업

전체 백업은 최초에 단 한 차례만 수행된다. 그 이후에는 백업 보관 기간에 상관없이 델타 백업만을 사용한 백업이 수행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3GB 데이터를 가진 일반적인 PC에서 일별로 델타 백업 기술을 사용하여 백업되는 데이터 사이즈는 평균 800KB에 불과하다. 약 200대의 PC를 백업하는 환경에서는 일일 백업 데이터 증가량이 약 160MB로 충분하며, PC별로 백업되는 시간은 전송시간이 약 0.2초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짧다.

·백업 서버 용량

약 200대의 PC를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1, 2개의 CPU와 200GB 미만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1대의 서버만으로 데이터 보호가 가능하다.

결론

넷백업 프로페셔널은 기업 단위의 데스크톱 백업 솔루션으로서, 관리대상 PC 대수에 관계없이 관리자와 사용자의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클라이언트 지향적인 다른 기업 솔루션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IT 지원 비용의 최소화: 넷백업 프로페셔널은 설치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기술지원이 전혀 필요 없을 정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사무실 환경이든 이동 환경이든 백업에 대해 전혀 개인적인 관리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중앙의 관리자 역시 최소한의 리소스만으로도 그룹 단위, 정책 기반의 관리가 가능하다.

·하드웨어 비용의 최소화/백업 시간의 최소화: 싱글 인스턴스 스토리지, 델타 백업 등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데스크톱 백업에 필요한 디스크 사용량과 백업 시간을 혁신적으로 절감하게 해 준다.

·데이터 복구 비용의 최소화: 넷백업 프로페셔널의 PC 자동복구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PC 장애 발생 시 복구에 사용되는 관리 리소스와 시간을 최소한으로 절감할 수 있다.

다양한 옵션을 통한 관리 유연성 제공: 오픈 파일 백업, 다이얼업 유저를 위한 프로파일 제공, 암호화, 압축 기능, 다양한 리포트, PC 이벤트와 연동한 스케줄링, 캘린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스케줄링 기능 등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다양한 옵션을 통한 관리 유연성 제공: 오픈 파일 백업, 다이얼업 유저를 위한 프로파일 제공, 암호화, 압축 기능, 다양한 리포트, PC 이벤트와 연동한 스케줄링, 캘린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스케줄링 기능 등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 구문: mt [ -f 테이프 장치 이름 ] 명령 [ 반복 횟수 ]

▣ 테이프 명령

  status  -테이프 드라이브의 상태 정보를 표시합니다
  rewind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retension  -테이프를 팽팽한 상태로 만듭니다.
  erase    -테이프 전체를 지웁니다.
  fsf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파일을 앞으로 건너뜁니다.
  bsf      -지정된 반복 횟수 만큼 파일을 뒤로 건너뜁니다.
  eom      -기록된 미디어의 끝부분으로 건너 뜁니다.

 - 반복 횟수는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횟수를 말합니다.기본적으로 mt는 명령을 한 번 수행 합니다. 하나의 명령을 두 번 이상 반복 하려면 반복 횟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 테이프 명령 예제

(e220>root)/#mt -f /dev/rmt/0 status ---> 테이프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e220>root)/#mt -f /dev/rmt/0 rewind --->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e220>root)/#mt -f /dev/rmt/0n fsf 2 ---> 첫 번째 두 개의 파일을 건너뜁니다.
(e220>root)/#mt -f /dev/rmt/0n bsf 2 ---> 두 개의 파일만큼 뒤로 건너뜁니다.
(e220>root)/#mt -f /dev/rmt/0 erase ---> 테이프의 내용을 지웁니다.

▣ tar - 테이프 아카이브

▣ 용도: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복원 합니다.디렉토리 구조를 유지하면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백업하는데 사용 합니다.

▣ 구문: tar [옵션] [장치이름] [파일 이름]

▣ 옵션

 c --- tar 파일을 새로 만듭니다.
 r --- 기존 tar 파일을 대체 합니다.
 t --- 테이프 아카이브의 목차를 표시 합니다.
 u --- 업데이트 합니다.
 x --- 추출하거나 복원 합니다.
 v --- 자세한 정보를 표시 합니다.

▣  tar 예제

(e220>root)/#tar cvf /dev/rmt/0n /export/solo

  ---> /dev/rmt/0n 테이프에 /export/solo 의 테이프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e220>root)/#tar tvf /dev/rmt/0n

  ---> /dev/rmt/0 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
      /etc                    /export/solo              /usr                        /var

 위와 같이 한개의 테이프에 네개의 백업 point 가 존재 할경우

  ---> /usr 출력.
  (e220>root)/#mt -f /dev/rmt/0 fsf 2 ----> 첫 번째 두 개의 파일을 건너뜁니다.
  (e220>root)/#tar tvf /dev/rmt/0 ----> /usr 에 대한 목록 출력.


        ●------------------●-----------------●------------------●
      /etc                    /export/solo              /usr                        /var

  한개의 테이프에 네개의 백업 파일 생성

  (e220>root)/#tar cvf /dev/rmt/0n /etc
  (e220>root)/#tar cvf /dev/rmt/0n /export/solo
  (e220>root)/#tar cvf /dev/rmt/0n /usr
  (e220>root)/#tar cvf /dev/rmt/0n /var

 뒤에 붙은 /dev/rmt/0n ---> n 옵션은 백업 및 복구 했을때 테이프를 되감지 않습니다.

 [n 옵션을 하지 않았을 경우.]

  (e220>root)/#tar cvf /dev/rmt/0 /etc  ---> n 옵션이 없을경우 처음으로 돌아감.
  (e220>root)/#mt -f /dev/rmt/0 fsf 1  --->백업한 /etc 다음으로 테이프 이동.
  (e220>root)/#tar cvf /dev/rmt/0 /export/solo ---> 백업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감.
  (e220>root)/#mt -f /dev/rmt/0 fsf 2 ---> 백업한 /export/solo 다음으로 이동
  ........

  테이프 한개에 여러개를 백업 할경우 n 옵션 이용......^^


        ●------------------●-----------------●------------------●
      /etc                    /export/solo              /usr                        /var

  (e220>root)/#tar xvf /dev/rmt/0 /etc ---> 백업한 /etc 를 /etc 폴더로 복구
  (e220>root)/#tar xvf /dev/rmt/0 /usr
  (e220>root)/#tar xvf /dev/rmt/0 /var

▣  ufsdump 및 ufsrestore

▣  용도: 파일 시스템,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백업하는데 사용 , 전체 백업이나 증분 백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구문: ufsdump [옵션] [장치 이름] [덤프할 파일]

▣  옵션

0 ~ 9  덤프 레벨 옵션을 지정합니다.
      레벨 0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전체 백업을 수행합니다. 레벨 1 ~ 9는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u      현재 백업의 날짜와 덤프 레벨을 /etc/dumpdates 덤프 기록에 업데이트합니다.
f      파일이 쓰여질 장치를 지정합니다.이 옵션은 장치 이름이 필요합니다.
v      테이프에 있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고 검사합니다.

▣  ufsdump 예제

    /dev/dsk/c0t0d0s0    10078668 6381680 3596202    64%    /
    /proc                      0      0      0    0%    /proc
    mnttab                    0      0      0    0%    /etc/mnttab
    fd                        0      0      0    0%    /dev/fd
    swap                2912176      32 2912144    1%    /var/run
    swap                2918048    5904 2912144    1%    /tmp
    /dev/dsk/c0t0d0s5    3008176  363956 2584057    13%    /data
    /dev/dsk/c0t0d0s6    2383077  64678 2270738    3%    /data1



  (e220>root)/#ufsdump 0uf /dev/rmt/0 /data ---> /data 파일 시스템을 /dev/rmt/0 로
  전체 덤프 합니다.

  --> (e220>root)/#ufsdump 0uf /dev/rmt/0 /dev/dsk/c0t0d0s5 변경 가능.

  (e220>root)/#ufsdump 1uf /dev/rmt/0 /dev/dsk/c0t0d0s5 --> /dev/dsk/c0t0d0s5 파일 시스템을 /dev/rmt/0로 덤프합니다. 이 명령은 레벨 1의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  ufsrestore 예제.

▣  용도: ufsdump 명령으로 만들어진 백업본에서 파일을 복구하거나 추출하는데 사용합니다.

▣  구문: ufsrestore [옵션] [장치 이름] [복원할 파일]

▣  옵션

  i      대화형 모드로 파일을 복원합니다.
  r      백업 전체를 복원합니다.
  t      백업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x      명령행에서 지정한 파일을 복원합니다.
  f        /dev/rmt/0과 같이 장치 이름을 지정합니다.
  v      파일을 복원하고 있는 경로 이름을 표시합니다(세부 정보 표시 모드).


        ●------------------●-----------------●------------------●
      /etc                    /export/solo              /usr                        /var


  (e220>root)/#ufsrestore xvf /dev/rmt/0 /etc ---> 현재 위치의 /etc 파일을 /etc 로 복원
  (e220>root)/#ufsrestore ivf /dev/rmt/0 /etc ---> 복원할 파일 선택
  (e220>root)/#ufsrestore rvf /dev/rmt/0 ./etc ---> /etc 파일 시스템을 현재 디렉토리로 복원
  (e220>root)/#ufsrestore tvf /dev/rmt/0 /etc ---> 테이프 목차 확인.

dump는 파일시스템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고 tar는 디렉토리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이해 해야 한다.

dump를 이용한 파일 시스템 백업 / 복구

  • ufsdump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0 - 9

덤프 레벨로 '0'은 완전한 백업이고 '1-9'는 점진적 백업을 말하는 것으로 /etc/dumpdates를 기준으로 점진적 백업을 한다. 

u

/etc/dumpdates를 기록한다.

a file_name

덤프 기록 파일을 작성한다. 어떤 파일들이 덤프되었는지 기록한다.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덤프 파일에 기록한다. (default : /dev/rmt/0) dump_file은 테이프 장치이거나 그외의 표준 출력장치일 수 있다. hostname:device 표기법을 사용하여 원격 시스템에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S

주어진 옵션에 따른 백업 크기 측정, 실제 백업은 하지 않는다. 백업하기전에 얼마나 큰 용량을 가진 장치가 필요한지 알아볼때 유용하다.

w

/etc/dumpdates 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백업되지 않은 /etc/vfstab 내의 ufs파일 시스템을 모두 출력한다.

<Example>  레벨 0으로 dumpdates를 기록하면서 테이프 장치에 /data 파일시스템을 덤프한다.

# ufsdump 0uf /dev/rmt/0 /data

 

  • ufsrestore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i

대화형으로 복구 한다. UNIX 파일 시스템을 보는 것과 유사 하다.

r

전체를 모두 복구 한다.

t

백업 테이블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x

지정된 파일만을 추출하여 복구 한다. 지정되지 않으면 전체 복구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dump_file에서 읽는다 (default : /dev/rmt/0)

a file_name

기록 파일에서 덤프 테이블의 내용을 읽는다.

<Example>  /dev/rmt/0 장치에 있는 덤프 데이터를 현재 위치한 파일 시스템에 복구 한다.

# ufsrestore xf /dev/rmt/0



tar를 이용한 계층 디렉토리의 백업

tar 에는 여러가 지 옵션이 많이 있지만 다음 세가지의 옵션만 사용하여도 된다.

tar [options] [tar_file] [directory]

c : tar_file을 생성한다. tar_file은 파일 이름 일수도 있고 장치명일 수도 있다.
x : tar_file을 복구 한다.
t : tar_file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v : 화면에 작업 과정을 출력을한다.
f : 기록 파일로 다음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백업 Example> 백업 받고 싶은 디랙토리가 /etc 일때

# cd /etc
# tar cvf /dev/rmt/0 ./*                  <-- 테이프 장치로 백업 할때

# tar cvf /home/etc.tar ./*              <--   파일명으로 받을때

<주 의> 여기서 중요한것은 디렉토리 지정을 상대 디렉토리(./*)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tar_file을 복구 할때 자기가 풀고자하는 디렉토리에 할수 있다.

<복구 Example> 복구 하고자 하는 파일이 /etc/named.boot 라면..

1. 우선 /dev/rmt/0 에 /etc/named.boot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 tar tvf /dev/rmt/0

2. 있으면 임시디렉토리를 만들고 그곳에 tar_file을 복구 한후 내용이 맞으면 실제 복구 할곳에 복구 한다.

# cd /tmp
# tar xvf /dev/rmt/0
# more named.boot
# cp named.boot /etc/


tar 사용시 특정디렉토리만 제외하고 백업을 받을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exclude [디렉토리명]


<사용법>

/home/samples 디렉토리를 백업받는데 불필요한 logs 디렉토리를 제외하고 싶을경우

home]# tar cvzf samples .tar.gz --exclude samples/logs samples

TAR로 증분/이어받기 백업하기


1. 증분백업(incremental) 하기

    AIX 기본 tar는 지원을 안하는것 같다. backup 명령이 있긴 하지만, 파일시스템에 대한 증분백업만 가능한것 같다. 아니면, find 명령어로 수정본(몇일동안에 변경된 파일)에 대한 파일 리스트를 입력으로한 tar 백업을 할 수 있을것 같다. 간단히, GNU TAR를 이용해서 해야 할것임. 해보진 않았음


2. 4mm tape에 tar 명령으로 이어받기 -1-

예를들어, /test1 /test2 /test3 이란 디렉토리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은

#tar -cvf /dev/rmt0.1 /test1
#tar -cvf /dev/rmt0.1 /test2
#tar -cvf /dev/rmt0.1 /test3


위처럼 순차적으로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TAPE을 꺼내면 자동으로 rewind 되어 빠진다. no test)


2.1 이어받은 Tape에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 -1-


예를들어, /test2 디렉토리를 복구하는 방법은

#mt fsf 1
#tar -xvf /dev/rmt0.1

또는

#tctl fsf 1
#tar -xvf /dev/rmt0.1

tape에 처음부터 1개의 화일(필자: 백업 시 해드가 멈춘시점)을 읽고 해드를 정지시킨다. 그다음 tar 명령어로 해드가 위치한 곳부터 데이터를 복구한다.


2.2 이어받은 Tape에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 -2-

#tar -tvf /dev/rmt0.1
#tar -xvf /dev/rmt0.1

한번 tape을 풀어보고(-t 사용), 멈춰진 해드에서 데이터를 복구한다.


2.3 이어받은 Tape에 특정파일을 복구하는 방법


예를들어, /test2 디렉토리에 testfile 이란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mt fsf 1

#tar -xvf /dev/rmt0.1 testfile

또 다른방법을 아래와 같이 생각할 수 있지만

#tar -cvf /dev/rmt0.1 /test1
#tar -rvf /dev/rmt0.1 /test2
#tar -rvf /dev/rmt0.1 /test3

-r 옵션을 사용해서 TAPE 에 직접 백업하는것은 불가능하다. AIX 문서에 나와있음.


2.4 이어받은 Tape에 첨부해서 백업하는 방법


먼저 Tape Drive헤드를 보관된 데이터의 끝으로 이동시켜야한다.

dd if=/dev/rmt0.1 of=/dev/null bs=1024k

위 명령어를 이용해서 헤드를 끝으로 옮기고, 그전처럼 백업을 한다.

* Tape에 남은 용량확인 : Tape으로 이어받기를 하는데 남은 용량을 체크하려는것은 어려운것 같다. 나름대로의 백업 프로그램을 만들면 가능할것도 같긴 하지만...

* 보통 이어받기는 잘 안한다. 이어받기를 하는 목적이 tape에 남은 용량이 아깝기 떄문에 그러는 것인데... tape이 비싸거나.. 없어서 그런것도 아닌데..^^; 그리고, tape에 에러가 나면 나머지 데이터들도 위험 할 수 있다.


3. 4mm tape에 tar 명령으로 이어받기 -2-


    백업대상 파일을 파일( *.tar)로 백업을 하고 옵션( -r ) 을 사용해서 추가적으로 파일을 attach 하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이경우 서버에 tar 파일을 임시로 저장할 temp 공간이 필요하다.


4. attach 백업 후 중복 파일 복구는 어느것 부터 되는지?

    가장 최근에 백업을 한 파일이 복구가 된다. 필자가 직접 테스트했음.


5. rmt 장치에 백업된 파일중에 지정파일만 복구 가능?

    가능함. 필자가 직접 테스트했음.



*tar 백업 방법

[sdome 예제]
#tar -cvf /dev/rmt/0m /stand /var /usr /opt /usr/local/lsf /applic

▷ o/s 백업방법 (시스템 운영중에는 안됨)

① DB & Application shutdown 시킴
② Single-user mode로 전환
#shutdown 0
③ O/S 관련 directory만 mount시킴, “bdf” 로 확인
④ #cd  /  (root directory로 이동)
⑤ tape을 드라이브에 넣는다.
⑥ #tar cvf /dev/rmt/0m ./


▷ 일반 데이터 백업


일반적으로 수십 ~ 수백 MB 정도의 데이터를 백업하는데 적합
[예제]  #cd /data ; #tar cvf /dev/rmt/0m .
data를 상대 path로 백업 받음 (#tar cv . 과 같음)
[예제]  #tar cvf /dev/rmt/0m /data
data를 절대 path로 백업 받음
[예제]  #tar rvf /dev/rmt/0m .
기존 tape에 덧붙여 백업 받음
[예제]  #tar tvf /dev/rmt/0m
백업 받은 내용을 tape에서 확인함

* restore 방법

▷ 절대 path로 백업 받았을 시
#tar xvf /dev/rmt/0m
data는 백업 받은 절대 path로 복구된다.

▷ 상대 path로 백업 받았을 시
#cd /data
#tar xvf /dev/rmt/0m
복구하고자 하는 directory로 이동 후 복구


***** tar xvf /dev/rmt/0mn /etc/hosts /tmp

---> 오 놀라워라 tar xvf /dev/rmt/0mn etc/hosts 이래야 되네...



################################################################

HP OS Backup(DDS TAPE)
#make_recovery -AvC /dev/rmt/0mn 
                                  ============== 
                                tape 장치명,생략가능 
복구

▷ O/S 전체 복구


① System을 recovery tape으로 부팅한다.

② 부팅 후 batch mode 및 interactive mode로 복구 할 수 있다.


- Batch mode
백업 받은 disk 에 백업 받은 상태 그대로 복구 시 사용한다. 즉, tape으로 부팅 후 ignite-ux 화면 load 시 interrupt을 걸지 않으면 자동으로 batch mode로 들어가 recovery 작업이 수행된다.
- Interactive mode
tape 으로 부팅 후 ignite-ux 화면 load 시 아무 key나 누르면 interactive mode 로 들어갈 수 있다. Interactive mode에서는 restore 할 disk 지정, O/S file system layout 변경 등 다양한 flexibility를 제공한다.


▷ 일부 파일 복구


① 복구 tape에서 boot image를 skip하고 file 이 백업된 곳으로 이동
#mt -t /dev/rmt/0mn fsf 1
② 원하는 파일 복구
#tar xvf /dev/rmt/0m etc/passwd opt/




################################################################

Ignite-ux server 설정 ( lanbooting 을 위한 설정 )

ignite client 위한 Ignite-ux server 의 DHCP 설정 ( CD booting 이면 아래의 설정 필요없음)


두가지중 편한것을 선택 ( 1) ignite 명령으로 설정하기를 recommend )


1) ignite 명령으로 단계별 DHCP Server 설정

2) /etc/dhcptab , /etc/inetd.conf , /etc/services files 편집


2-1) vi /etc/dhcptab

===========================================================================

dhcp_device_group:\
        class-name=HP_IGNITE_UX_0:\
        class-id="Ignite-UX_centerb":\
        addr-pool-start-address=192.168.0.170:\
        addr-pool-last-address=192.168.0.175:\
        lease-time=7200:\
        lease-policy=accept-new-clients:\
        allow-bootp-clients=FALSE:\
        hn:\
        bf=/opt/ignite/boot/hbp.efi:\
        subnet-mask=255.255.255.0:\
        gw=192.168.0.1


============================================================================


2-2) vi /etc/inetd.conf

============================================================================

#bootps dgram   udp     wait    root    /usr/lbin/bootpd        bootpd
bootps dgram udp wait root /opt/ignite/lbin/instl_bootd instl_bootd
instl_boots dgram udp wait root /opt/ignite/lbin/instl_bootd instl_bootd

============================================================================


2-3) vi /etc/services

============================================================================

bootps        67/udp                 # Bootstrap Protocol Server


2-4) inetd -c ( inetd.conf 변경했으므로 inetd 재시작 )


출처 블로그 > hi.pe.kr 날으는물고기·´″°³о♡
원문 http://blog.naver.com/choibit/140035855382

1장. NetBackup Essentials


다음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여러분들이 친숙해 져야할 NetBackup 제품들
  ▶ NetBackup이란 무엇인가?
  ▶ NetBackup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용어

-----------------------------------------------------------------------------

가. NetBackup 제품과 구조 [Page 1-4]

1). NetBackup Server와 NetBackup Enterprise Server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A. 공통점

▶ 두 제품은 여러분 조직의 전산환경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하여 데이터를 보호를 위해
    NetBackup 서버로 부터 Storage Device로 자동적으로 백업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데이터 손실이 있을 경우 백업된 데이터로 부터 빠른 복구를 제공한다.

B. 어떻게 동작하는가?

▶ 여러분들이 NetBackup을 가지고 Policies와 Schedules를 생성을 하여
    주기적으로 백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 주기적으로 여러분의 소중한 데이터를 Policies에 따라 테이프, 디스크,
    다른 스토리지 장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만든다.
▶ 관리자로서 User-level Backup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 NetBackup Catalog를 유지를 하여 요구시 Data를 복구할 수 있게 해준다.
▶ 관리콘솔에서 NetBackup의 전체 운영을 관찰하고 운영에 대한 보고서를
    볼 수가 있다.

C. NetBackup Enterprise Server와 NetBackup Server의 차이점

▶ NetBackup Enterprise Server는 거대한 UNIX와 Windows System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 하나의 Master Server와 여러대의 Media Server로
    구성을 할 수가 있다.
▶ NetBackup Server는 하나의 Master/Media Server로 구성할 수 있다.

▶ 확장성에 대한 차이점이 있다

2). NetBackup 구조 [Page 1-6]


 GDM[Global Data Manager] master of masters  [Tier 4]
 ------------------------------------------
 Master Servers Master Server  [Tier 3]
 ------------------------------------------
 Media Servers Media Server  [Tier 2]
 ------------------------------------------
 Client  Client  Client  Client  [Tier 1]


▶ Client : 백업할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는 시스템. Data Stream으로 Backup할
              내용을 Media Server로 보냄

▶ Media Server : Storage 자원을 제공 시스템.
  master Server로 부터 명령을 받아서 client에서 보내져오는
  data stream을 서버에 부착된 storage unit에 저장하는 시스템

▶ Master Server : 중앙집중식 운영과 관리를 하기 위한 NetBackup 환경에서
  두뇌역활을 하는 시스템이다. 전반적인 백업환경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NetBackup Environment당 하나의 Master Server가 존재한다.

  - 백업 운영
   - 아카이브 운영
  - 복구 운영
  - 자동화백업 스케쥴링
  - 백업 구성 정보기록
  - 작업상태 정보기록
  - 백업 이미지 정보기록

▶ GDM [NetBackup Global Data Manager] :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기업의
  환경에서 한 장소에서 백업과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GDM은 그러한 기능을 제공해 준다. GDM은 master of masters로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Master Server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한
  장소에서 여러 백업과 복구에 대한 운영을 쉽게 할 수가 있다.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3). 구조의 예 [Page 1-8]

A. One Master/Media Server

▶ NetBackup Server환경의 전형적인 구성이며 소규모 망에서 적합하다.
    하나의 Master Server에서 Storage Devices와 Clients들을 관리한다.

B. a Master Server and a Media Server [Page 1-9]

▶ NetBackup Enterprise Server에 대한 기본구성이다.
    Media Server에 Storage Device가 부착이 되며 Clients와는 Network로
    보통 연결된다. 보통 Client에는 백업할 데이터량이 적고 Media Server에
    백업할 데이터량이 많을 때도 이렇게 구성을 한다.

C. One Master Server / Multiple Media Servers

▶ 분산네트워크 환경에서 구성하는 구조이다.
    백업은 Local Netword에서 발생한다.

나. NetBackup Terminology [넷백업 용어]

▶ 어느 전산환경에서 그렇듯 효율적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그 전산환경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친숙해 져야 한다.
▶ 다음과 같은 용어는 다른 제품과 기술에서도 보편적으로 통용이 된다.

1). 용어

A. NetBackup Image

▶ 하나의 클라이언트에서 백업이 발생할때 백업될 데이터가 Media Server로
    GNU tar 형식으로 압축이 되어 Backup Media[Tape, Optical Disk, Disk]로
    저장된 것을 NetBackup Image라 한다. 또는 Backup Image, Image라 부른다.

B. Storage Units

▶ 클라이언트의 백업할 데이터의 논리적인 목적지를 말함.
▶ NetBackup Server에 연결된 명확한 Type와 Density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Storage Device의 Group이다. 

 Storage Units의 이점

 - Storage Units은 NetBackup관리를 간소화한다.
 - NetBackup은 명확한 Storage Device 보다 Storage Unit을 사용한다.
 
 4가지의 Storage Unit Types

 - Disk storage unit

   ▶ Disk-Based Storage Unit이라 불리는데 하드디스크 상의 디렉토리로
       존재하는 Storage Unit이다.
   ▶ 테스트나 빠른 백업을 할 때 유용하다. 그리고 Disk의 Random Search
       특징으로 빠른 복구기능을 제공한다.
   ▶ 하지만 더 많은 디스크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Disk Space Full을 주의
       해야 한다.

 - Disk staging storage unit

   ▶ 처음에 Backup Image를 Disk에 저장을 하고 후에 다른 Media Type에
       Image를 옮길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Image가 Disk에 있는 동안
       장애가 난 경우 빠른 복구기능을 제공한다.
   ▶ Disk Staging는 짧은 기간 Tape는 긴 기간동안 Backup Image를 저장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Media Manager storage unit

   ▶ Disk 기반이 아닌 Storage Unit이다. 보통 Robotic Tape Library와
       Stand-alone Tape, Optical Disk Device를 사용한다.

 - NDMP storage unit

   ▶ Media Manager에 의해 제어가 되지만 NDMP[Network Data
                  ManageMent Protocol] host에 연력이 되어 있고 옵션제품이다.

 Storage Unit 구성방법

 - On demand Only

   ▶ policy나 스케줄이 단지 그 Storage unit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 Any Available

   ▶ Backup policy에 대해 storage unit에 대해 명시를 하지 않는
       다면 any availible로 지정되게 된다. Volume Pool에 사용가능한
                   Media가 존재해야 한다.    

C. Storage Unit Groups

  ▶ storage unit들을 단일 unit으로 주소화 시켜주는 group이다. 그리고 각각의 storage unit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 할 수 있다.

D. Volumes

  ▶ volume은 하나의 removable media이다.

E. Volume Pools

  ▶ 명확한 목적을 위해 정의된 volume의 집합이다.

F. Volume Groups

  ▶ media에 대한 물리적 위치이다.

G. Backup Policies

  ▶ 어떻게 백업을 수행을 할 것인지에 대한 세부사항을 정의한 파라미터들의
      리스트들의 집합이다.

 - attributes : where, how
 - schedules : when
 - backup selection : what
 - clients : who

  ▶ Backup policy 의 갯수 제한은 없다.
  ▶ policy는 master server에 정의되어야 한다.

H. Catalogs [Page 1-20]

  ▶ 구성과 백업정보를 가지고 있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이다.
  ▶ 이곳에는 NetBackup의 구성과 백업이 수행된 내용에 정보를 가지고 있다.


 Master Server Catalogs Media Server Catalogs
 ------------------- ------------------
 [NetBackup Catalog] [Nebackup Catalog]
 Image   Media
 Config   [Media Manager Catalog]
 Policy   Device
 Jobs
 Error
 [Media Manager]
 Volume
 Global Device

  ▶ Client는 Catalog를 가지지 않는다.
  ▶ NetBackup 제품을 구성하여 구성요소


다. NetBackup 5.x의 옵션

  ▶ 백업환경을 발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옵션제품이다.
  ▶ 세부정보는 http://www.veritas.com을 참조

 - Bare Metal Restore
 - Vault
 - Shared Storage Option
 - GDM
 - Advanced Reporter
 - Database Agents
 - Storage Migrator
 - NDMP
 - Advanced Client
   * Offhost Backups
   * Instant Recovery
   * Array Intergration
   * FlashBackup
   * Oracle Advanced BLI Agent

다음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NetBackup 설치전 고려해야 할 사항
    - 기본설치경로
    - NetBackup 설치전 알아야할 일반적인 사항
    - NetBackup License Keys 관리
    - NetBackup Catalogs의 위치와 Size 식별
  ▶ NetBackup 설치, 구성 및 설치 확인
    - 설치
    -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
    - 구성
    - 설치 확인
  ▶ 보편적인 설치 문제에 대한 해결

-----------------------------------------------------------------------

가. 기본적인 설치경로 [Page 2-5]

 NetBackup /usr/openv/netbackup
 Media Manager /usr/openv/volmgr
 License Keys /usr/openv/var    [ license.txt file ]
 Java  /usr/openv/java

  주의 : 기본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에 설치를 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나. 설치전의 임무 [Page 2-6]

1). 설치 요구사항 확인

  ▶ 호환성. 호환리스트 확인
  ▶ Memory와 Hard Disk 용량

     * Mater Server에 150MBytes가 필요
     * Media Server에 35MBytes가 필요
     * Client에 15MBytes가 필요하다.
     * CatalogDB에 관련된 용량측정도 필요하다.
     * 512MB Memory를 권장하지만 256에서도 Java Interface Program 운영가능.

  ▶ Old SoftWare 삭제
  ▶ 다른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지 ping test 필요.
  ▶ Devices에 관련된 driver 설치와 연결 및 연결확인
  ▶ License Key [Optional Product에 관련된 License Key]
  ▶ 관리자권한 필요
  ▶ 설치를 위한 NetBackup Software 필요

2). 호환성 검사

  ▶ Software 호환성 [ http://support.veritas.com ]
    - Operating System 호환성
    - Database Agent 호환성
    - Cluster 호환성
    - Shared Storage Option(SSO) Device 호환성
  ▶ Hardware 호환성
    - http://support.veritas.com => NetBackup Product => NetBackup Enterprise
      Server => Compatibility & Reference 에서 NetBackup 5.x HCL 검색

다. NetBackup Licensing [Page 2-10]

1). NetBackup Licensing
 
  ▶ NetBackup 5.X는 새로운 라이센스 키를 요구한다. NetBackup을 설치할때
      입력을 요청한다.
  ▶ NetBackup 설치후 NetBackup Administration Console이나
      get_license_key  명령을 통해 라이센스 키를 관리 할 수 있다.

2). Licenses for Enabling Options and Agents

  ▶ Option 제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License Key를 Master Serer에
      입력하여야 한다.

3). License Keys
 
  ▶ Key의 값은 숫자와 영문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문자들은
      다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Server
    - Client
    - Agent
    - Option
    - Permanent Key
    - Evaluation Key
    - How and where the key was generated

4) NetBackup Administration Console을 통한 License Key 관리 [Page 2-12]

  ▶ # jnbSA & => Help Menu => License Keys => License Key 추가
 
      => 모든 NetBackup Utility 재시작

5) License Key Utility를 사용한 License Key 관리

  ▶ # /usr/openv/netbackup/bin/admincmd/get_license_key
     
      A,D,F,L,H,q Keyword를 사용하여 key를 확인, 추가 삭제를 할 수 있다.

  ▶ License Key는 /usr/openv/var/license.txt에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라. Catalog Space Requirements [Page 2-15]

1). Catalog Space Requirements

  ▶ NetBackup 설치전 Catalog에 대한 공간 염두해 두어야 한다.
  ▶ 여러정보가 있지만 그중에 크기가 크고 중요한 Catalog가 Image Catalog이다.
  ▶ 개별적인 파일에 대한 전체수와 유지기간에 따라 필요한 공간의 크기가
      달라진다.

  Master Server Catalogs  Media Server Catalogs
  ------------------------------------------------------
   - Images     - Media
   - Config     - Device
   - Policy
   - Jobs
   - Error
   - Volume
   - Global Device

2). Images Catalog Sizing [Page 2-16]

A. NetBackup Images Catalog Sizing

  ▶ 파일1개에 관련된 metadata를 저장하기 위한 기본 필요용량은 150bytes 이다.
      만약 매일 30만개의 파일을 백업을 하는데 유지기간이 30일이라면
      (300000x30x150)/(1024x1024) ≒ 1.3GBytes가 필요하다.
  ▶ Error와 Status log에 대한 공간도 염두해두어야 한다.

B. Image Catalog Size 추정하기

  ▶ 실질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용량에 1~3% 에 해당하는 용량이 Catalog Size로
      계산할 수 있다.
  ▶ 2.5TBytes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Catalog Size는 50GBytes정도 된다.

C. 향상된 Catalog Format

  ▶4.x에서 업그레이드 하였다면 몇개의 Catalog는 ASCII로 되어 있을 것이다.
  ▶ /usr/openv/netbackup/bin/cat_convert명령을 사용하여 Binary Format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약 2/3로 용량이 줄어든다.

마. NetBackup 설치

1). 설치

  ▶ CDROM에 CD를 넣는다.
  ▶ # cd /cdrom/cdrom0
  ▶ ./install
  ▶ NetBackup install
  ▶ Directory Path 와 평가 License Key를 입력하여 설치
  ▶ # bpps -a 명령을 사용하여 Daemon Processes 확인

2). 주요 디렉토리

  /usr/openv/netbackup/bin   실행파일
  /usr/openv/netbackup/bin/admincmd  NetBackup Command
  /usr/openv/netbackup/bin/goodies  Script File
  /usr/openv/volmgr/bin   Media Manager Command
  /usr/openv/man    Manual Page

  ▶ /etc/rc2.d/S77netbackup ----> /etc/init.d/netbackup 에 심볼릭 링크
  ▶ /etc/rc0.d/K77netbackup ----> /etc/init.d/netbackup 에 심볼릭 링크
 
  ▶ 설치가 끝났으면 Command Path와 Manual Path를 정의하여 준다.

--------- /.profile  file -------------------------------------------------
PATH=/usr/sbin:/usr/bin:/usr/openv/volmgr/bin:/usr/openv/netbackup/bin:/usr/openv/netbackup/bin/goodies
PATH=$PATH:/usr/openv/netbackup/bin/admincmd:/usr/openwin/bin
LD_LIBRARY_PATH=/usr/lib:/usr/share/lib:/usr/openv/lib:/usr/openv/java/jre/lib
MANPATH=/usr/share/man:/usr/openwin/man:/usr/openv/man
export PATH LD_LIBRARY_PATH MANPATH DISPLAY
set -o vi
ENV=/.kshrc
stty erase ^h

--------------------------------------------------------------------
-------- /.kshrc   file --------------------------------------------------
PS1='[$PWD]# '
export PS1
--------------------------------------------------------------------


바. NetBackup Host Properties 구성하기
 
1). Host Properties 

  ▶ 대부분의 NetBackup Setting을 NetBackupAdministration Console의
      Host Properties Section에서 할 수 있다. Master, Media Servers, Clients
  ▶ /usr/openv/netbackup/bp.conf는 Master Server Host Properties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 /usr/openv/volmgr/vm.conf는 Media Server Host Properties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 NetBackup Global Attributes는 NetBackupAdministration Console와 CLI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2). NetBackup Host Properties에 접근하기

  ▶ # jnbSA &
  ▶ 왼쪽 창에서 NetBackup Management => Host Properties 선택 =>
      오른쪽창에서 해당 Machine 선택 => 마우스오른쪽 클릭 Properties 선택

3). Mater Server Properties [Page 2-25]

  ▶ Global Attributes
   - 정책과 client에 모든 운영에 영향을 끼침.
   - 설정에 대한 내용은 Master Server의 /usr/openv/netbackup/db/config에
     저장이 됨

A. Wakeup Interval

  ▶ 얼마나 자주 scheduler가 백업을 위한 schedule을 검사하는지에 대한 시간간격
  ▶ bprd가 bpsched를 fork 시키는 시간간격[10분]

B. Schedule Backup Attempts

  ▶ 명시간 시간 기간동안 백업을 완료하기 위해 NetBackup이 시도하는 횟수[12시간당2회]
  
C. Status Report Interval
 
  ▶ NetBackup에 의해 축적된 정보를 Report로 만드는 시간 간격[24시간]

D. Maximum Jobs per Client

  ▶ Client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Backup작업의 수[1건]

E. Compress Catalog Interval

  ▶ Image Catalog File를 압축하기 위한 일수

F. Keep Log

  ▶ Master Server가 error/job catalog, debug log정보를 보간하고 있는 일수[28일]

G. Delete Vault Log

  ▶ Vault Session Directory를 유지하는 일수 [30일]

H. Keep True Image Restoration(TIR) Information

  ▶ True Image Restoration(TIR) Information를 보관하고 있는 일수 [1일]

I. Move Restore Job from Incomplete State to Done state

  ▶ 실패한 복구작업이 작업완료상태로 되기전 incomplete state로 남아
     있을수 있는 일수 [7일]

J. Move Backup Job from Incomplete State to Done state
 
  ▶ 실패한 백업작업이 작업완료상태로 되기전 incomplete state로 남아
     있을수 있는 시간 [3시간]

K. Administrator's E-mail Address

  ▶Schedule Backup, Administrator-directed manual backup, NetBackup
     Catalog Backup시 메일로 알림내용을 보낼 메일주소

4). Host Properties : Master Server

  ▶ Addtional Servers에 Media Server가 존재할시
      Media Server는 Master Server 처럼 NetBackup을 관리할 수 있다.

  ▶ Media Server에 Media Server가 존재할시
      Local Media와 Devices만 Console에서 관리 할 수 있다.

  ▶ 두군데 다 존재할 시
      구성정보는 볼수 있지만 Master서버처럼 구성정보를 수정 할 수는 없다.

사. NetBackup 설치 확인하기 [Page 2-28]

  ▶ GUI에서 Active monitor의 Processes tab를 통해 Processes 확인
  ▶ bpps -a 명령을 사용하여 Processes를 확인

  ▶ Master Server에서는 bprd, bpdbm, bpjobd process확인
  ▶ Media Server에서는 vmd process를 확인

아.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문제해결

  ▶ Network/Communication
   - 시스템간 ping 테스트
   - NetBackup Service를 가지고 확인
  ▶ Host Communication Setup (/etc/hosts)
  ▶ 부정확한 hostname 확인

3장. Configuring Devices


다음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Devices 구성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을 사용하여 robot과 new drive추가하기
  ▶ Shared Drive 구성하기
    - Shared Storage Option에 대한 설명
    - Shared Drive 구성
  ▶ Devices 관찰 및 유지하기
  ▶ 추가적인 고려사항
    - Device를 구성하기 위해 관련된 추가적 고려사항
  ▶ 문제해결

가. Devices 구성하기 [Page 3-5]

1). Devices를 구성하기전 준비해야 할 것들.

  ▶ Media Manager를 사용하여 구성하기 전에 장비가 먼저 서버에 부착되어야 한다.
  ▶ 적합한 Driver를 OS에 설치해야 한다.
  ▶ 부착을 하였다면 OS Tool를 통해 사용가능한지 확인을 한다.
  ▶ NetBackup를 설치한 후에 "sgscan" 이라는 명령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usr/openv/volmgr/bin/sgscan

  ▶ 위 명령을 사용하여 Device를 볼수 있다면 Device를 구성할 준비가 되었다.

2). Devices 구성방법

  ▶ "Configure Storage Devices Wizard" 로 구성하기 GUI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를 사용하여 구성하기 GUI
  ▶ tpconfig 명령 사용하기

A. "Configure Storage Devices Wizard" 로 구성하기 (GUI)
B.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를 사용하여 구성하기 (GUI) [Page 3-8]

   ▶ # jnbSA &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에서 Media Management선택
     
      Device선택 => Action Menu => New => 구성하길 원하는 device를 선택하여 구성

  ㄱ. robot 추가하기
    
    ▶ robot 안에 있는 drive를 추가하기 전에 robot를 추가 해야 함
    ▶ robot에 관련된 path-through file을 알아야 함

        /dev/sg/c0t2l0    (sgscan command를 통해 알수 있음)

    ▶ robot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을 설정해 줘야 함 [Page 3-10]

        - Device host
        - Robot type
        - Robot number
        - Volume database host
        - Robot control

   ㄴ. New Drive 추가하기

    ▶ # jnbSA &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에서 Media Management선택
     
      Device선택 => Action Menu => New => New Drive 선택

    ▶ Drive를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을 설정해 줘야 함 [Page 3-13]

        - Device host
        - Drive name
        - No rewind device(/dev/rmt/0cbn)
        - Device type
        - Drive status
        - Robotic library
        - Robot drive number
        - ACS..

     % Device를 구성한 후에 Media Manager Device Daemon를 재시작 해야 함.

        ▶ Action => Stop/Restart Media Manager Device Daemon

        ▶ /usr/openv/volmgr/bin/stopltid ; /usr/openv/volmgr/bin/ltid

            ltid와 avrd daemon 재시작

C. tpconfig 명령 사용하기

  ▶ tpconfig 명령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에 있는 Device File이 변경된다.
     
      /usr/openv/volmgr/database

  ▶ tpconfig 명령을 사용하여 Device를 구성하면 정보가 다음과 같은 File에 저장이 된다.

     /usr/openv/volmgt/database/ltidevs
     /usr/openv/volmgt/database/robotic_def

  ▶ tpconfig 명령은 Media Server에서 동작시켜야 한다.

 
    # tpconfig -add -robot 0 -robtype tld -robpath /dev/sg/c0t2l0
   
    # tpconfig -add -drive -type hcart2 -path /dev/rmt/0cbn -robot 0 -robtype tld \

      -robdrnum 1 -asciiname train1_dlt1

    # tpconfig -d

    # tpconfig -delete -robot 0

    # tpconfig -delete -drive 1

    # tpconfig -d

D. robtest 를 사용하여 robot 제어하기

  ▶ robtest 명령을 사용하여 robot를 테스트 할 수 있다.
  ▶ # robtest
     > m s1 d0
     > m d0 s1
     > q
  ▶ 주의할 사항은 robtest 명령이 수행되는중 종료는 device error를 초래할 수 있다.

나. NetBackup Shared Storage Option (SSO)

1). Shared Drives 구성하기

  ▶ SSO는 NetBackup 환경에서 NetBackup Media Server간에 또는 SAN Media Server
      간에 개별적인 Tape Drive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옵션제품)
  ▶ 각각의 Media Server는 Share Drives에 접근 할 수 있으며 백업/복구 운영시
      자동으로 할당/비할당이 된다.
  ▶ 기존의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Drive개념을 탈피하여 SAN 환경에서 Drive를 공유하고
      LAN을 통해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대신에 SAN상에 Tape Drive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이동시켜 백업을 할 수 가 있다.
  ▶ 고속백업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 회사조직의 비용을 줄여준다.

2). SSO 기능 활성화 하기 [Page 3-20]

  ▶ SSO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Master Server와 Media Server에 SSO Option
      License Key를 입력해야 한다.
  ▶ SSO를 구성하기 전에 SAN환경에서 Device를 볼수 있어야 한다.
      # sgscan
  ▶ 작업순서 [ 책 오탈자 있음 ]
     - License Key 입력
     - # cd /usr/openv/volmgr/bin/driver
     - # ../sg.build all -mt 0 -ml 9
     - # rm -f /kernel/drv/sg.conf
     - # ./sg.install
     - # sgscan

3). Shared Drives Wizard

  ▶ tpconfig 명령을 사용하는 것 보다 GUI Wizard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 Shared Device Configuration Wizard를 사용하여 device 발견과 Robotic Library
      , Shared Drives 및 Storage Unit를 추가하라.
 
  [Page 3-23 부터 3-28 까지 따라하기]
    #tpconfig -update -drive 0 -shared yes | no   <- 명령어로 SSO를 해제하여야 한다.(no 옵션)

4). MUST_USE_LOCAL_DRIVE Parameter

  ▶ Media Server에 붙어 있는 Drive를 사용하도록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Paramenter이다.
  ▶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Drive가 있으면 LAN을 통해 백업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백업을 위해 자신의 local drive를 사용하도록 만들이 위해 위 Parametner를 설정한다.

  ▶ /usr/openv/netbackup/bp.conf 파일에
       
      MUST_USE_LOCAL_DRIVE = YES

     를 입력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5). Devices 관찰과 유지 [Page 3-30]

  ▶ Device Monitor를 통해 GUI환경에서 Device에 관한 속성과 특성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Device선택과 마우스 오른쪽키를 사용하여 Device를 up,down,cleaning 할 수 있다.

  ▶ Drive Details 에 대한 세부내용은 page 3-31을 참조

6). Topology view 사용하기

  ▶ Topology view를 사용하여 Drive의 상태를 알아볼수 있다.
      (아이콘 모양을 통해 상태를 알아 볼수 있음. 아이콘은 Page 3-33 참조)

7). Command를 통한 Device 관찰

  ▶ tpconfig/vmoprcmd 이라는 명령을 통해 Device를 관찰 할 수 있다.

     # tpconfig -l
     # tpconfig -d
     # tpconfig -dl
     # vmoprcmd -h hostname

다. Cleaning Devices

1). Cleaning Devices

  ▶ Tape Drive를 Clean 작업하는 것은 중요하다. 덜도 더도 하지 말아야 한다.
  ▶ OEM's recommanded cleaning schedule를 참조하라.
  ▶ Media Manager는 Cleaning Tape의 사용횟수를 추적한다. 다시 말해
      Tape 사용 가능횟수를 정하고 사용하다 사용가능 횟수를 초가하면
      사용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새로운 Cleaning Tape로 교채를 하거나 number of cleanings를 조정하여
      사용 할 수가 있다.

2). Device Cleaning Methods

  ▶ Robotic Automatic

    - Hardware Based 방식이며 Drive가 Cleaning이 필요할때 알아서 작업을 한다.
      일단 백업장비 또는 백업라이브러리에서 autometic cleaning이 될수 있도록
      설정을 하여야 한다. NetBackup과 작업에 대한 정보교류가 없다.

  ▶ Robotic Automatic with TapeAlert

    - Drive가 cleaning 작업이 필요하다고 Media Manager에게 알리도록 설정.
       장비에서 지원을 해 줘야 하고 CLEAN_NOW flag값을 설정을 해줘야 한다.
      백업/복구 수행중에는 작업의 끝나고 수행이 된다.
      NetBackup과 작업에 대한 정보교류가 있다.

  ▶ Frequency-Based Cleaning

    - Drive 설정시 Cleaning Frequency를 설정하여 Tape Mount 시간에 도달하면
       Cleaning 작업이 일어나도록 설정한다.

  ▶ Manual Drive Cleaning

    - GUI Tool를 사용하여 또는 tpclean이라는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Cleaing 작업을 수행한다.
 
    # tpclean -L    [cleaning 정보를 본다.]
    # tpclean -C Drive_Name   [mount time을 0로 만든다.]
    # tpconfig -M Drive_Name   [수동으로 cleaning 작업을 한다.
      그리고 mount time을 0로 만든다.]
    # tpconfig -F Drive_Name  Number_In_Hour [cleaing frequency 시간을 설정한다.
       값은 0~10000 시간 까지이다.]

라. Media Configuration 권장사항

  ▶ Master Server를 Global Device Database Host 와 Volume Database Host로
      만든다.
  ▶ Hardware 벤더회사의 명시에 따른 Tape Drive를 Cleaning 작업한다.
  ▶ NetBackup 환경을 최적화 한다.

마. Device 사용 고려사항

  ▶ NetBackup은 백업을 위해 사용될 논리적인 Drive수가 물리적인 Drive수를
      초과하면 백업작업은 사용가능한 Drive가 생길때 백업이 시작이 된다.
      논리적인 Drive수와 물리적인 Drive수의 균형을 잘 맞추어야 원할한 백업이
      이루어 진다. 물리적인 Drive에 장애가 발생하면 균형에 대한 관계가 변형이
      되는데 이를 대비하여 여분의 Drive를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바. Troubleshooting 문제해결 [page 3-46]

  ▶ device가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

    - http://support.veritas.com 에 있는 HCL List에 존재하는 device인지를 확인한다.
    - OS 명령을 사용하여 장비에 대한 파일을 생성한다.
       
       [Solaris]
       /kernel/drv/st.conf  : Tape Drive에 관련된 파일
       devfsadm command  : device에 관련된 파일을 생성
       cfgadm -al command  : device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확인
       sgscan  : device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확인

  ▶ 잘못된 Device 정의 확인
  ▶ bpps -a 명령을 사용하여 정상동작 유/무 확인
  ▶ robtest를 통한 tape load 가능성확인
  ▶ network 설정확인

  ▶ status code 62

    - Library에 사용가능한 drive가 없어 mount request이 거부됨
    - drive의 사용가능성을 조사해야 함

  ▶ status code 245

    - 요청에 대한 물리적 drive가 사용가능치 않아 robotic mount operation을
       완료하지 못하였음.
    - Backup window를 늘려준다.
    - SSO option을 사용하여 사용가능한 drive를 공유한다.

4장. Configuring Storage Unit


다음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Storage Unit을 정의
    - Storage Unit의 사용과 중요성을 설명
    - Storage Units과 Storage Unit Groups의 차이점
    - Storage Units과 Storage Unit Groups이 언제 사용되는지?
  ▶ Storage Unit을 구성
    - Storage Unit 구성
    - Storage Unit Group 구성
  ▶ Storage Unit 문제점에 대한 문제해결

-----------------------------------------------------

가. Storage Units 정의하기 [page 4-5]

  ▶ NetBackup이 files과 data를 저장하는 Storage Device를
     설명하는 용어
  ▶ Disk와 Robot안의 Drive 집합 또는 하나 이상의 동일한 타입의
      Tape drive의 위치가 될 수 있다.
  ▶ NetBackup에는 4종류의 Storage Units이 있음.

    - Media Manager

      * Media Manager제어하에 있는 Robot 또는 Stand-alone Tape
         Driver가 사용이 된다.
      * Media Manager는 Storage Device 내에 Media의 할당과 마운트를
         제어한다.

    - Disk

      * Data나 Archive file을 저장하는 Disk에 존재하는 Directory로 구성됨
      * 테스트나 빠른 백업/복구를 요구할때 용이

    - Disk Staging

      * Removable Media로 전송하기전 원본백업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Disk위의 Directory

    - NDMP

      * Media Manager의 통제를 받으나 NDMP host에 연결이 되어 있고
        NDMP option이 필요함

*** 적합한 Storage Unit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Drive와 Media 및 Storage Unit
     의 Density Type이 맞아야 한다. 다시 말해 Drive type이 있는데
     그것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Media를 사용해야 하고 Storage Unit을
     구성할때 적합한 Drive Density를 선택해야 한다.


나. Storage Device와 Storage Units 및 Storage Units Group의 차이점? [Page 4-8]

1). Storage Deivce

  ▶ Backup Image를 저장할 개별적 물리적 장치

    - Tape Drive
    - Optical Disk Drive
    - Magenetic Disk with File System

2). Storage Unit (STU)

  ▶ Backup Image를 보내는 논리적인 위치
  ▶ STU는 하나이상의 Storage Device를 포함한다.

    - Media Server에 포함된
    - 같은 Robot에 의해 제어되는
    - 같은 Type과 Density를 가지는

3). Storage Unit Group

  ▶ Storage Unit Group는 하나이상의 Storage Unit의 집합이다.

    - Storage Unit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다. Storage 구성 디자인 [Page 4-9]

1). On Demend Only

  ▶ Policy와 Schedule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Storage Unit를 정의하여
     백업을 하기 위해 그 Storage Unit만을 사용하게 한다.

2). Any Availible

  ▶ Policy에 사용가능한 Storage Unit을 정의하지 않았다면
     Any Availible로 선택이 되고 어떠한 Storage Unit도 사용가능하게 된다.

3). Storage Unit Layout 과 Storage Unit Group Layout 예

  ▶ [Page 4-10] 참조

  - 결함허용과 작업의 동시성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라. Storage Unit 구성방법 [Page 4-12]

  ▶ Configure Storage Device Wizard를 사용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을 사용
     - NetBackup Management Interface 사용
  ▶ CLI bpstuadd 명령을 사용

1). Storage Units 구성하기(GUI)

  ▶ 다음과 같은 속성을 염두해 두고 구성한다.

    - Storage Unit Name
    - Media Server
    - Storage Unit Type ( Disk, Disk Staging, NDMP, Media Manager)
    - On Demend Only (해당 policy만 백업가능하도록 만듬)
    - Storage Device
    - Robot Type
    - Density
    - Robot Number
    - Maximum Concurent Drive Used for Backup (백업시 동시에 사용가능한
      Drive 갯수)
    - Maximum Fragment Size (Backup시 최대 Fragment Size 복구시 유리)
    - Maximum Mutiplexing per Drive (드라이브당 동시 작업수. 복구시 시간이
      만이 걸림)

2). command를 사용하여 구성하기

  ▶ bpstulist, bpstuadd, bpsturep, bpstudel

  [/]# bpstulist -label Test_STU1 -U

    Label:             Test_STU1
    Storage Unit Type: Media Manager
    Host Connection:   HC02
    Number of Drives:  1
    On Demand Only:    no
    Max MPX/drive:     1
    Density:           dlt - DLT Cartridge
    Robot Type/Number: TLD / 0
   
    Max Fragment Size: 1048576 MB

  [/]#

  [/]# bpstudel -label Test_STU1
  [/]# bpstulist -l
    no entity was found

  [/]# bpstuadd -label Test_STU1 -host HC02 -cj 2 -density dlt \
   > -rt TLD -rn 0
  [/]# bpstulist -label Test_STU1 -U

    Label:             Test_STU1
    Storage Unit Type: Media Manager
    Host Connection:   HC02
    Number of Drives:  2
    On Demand Only:    no
    Max MPX/drive:     1
    Density:           dlt - DLT Cartridge
    Robot Type/Number: TLD / 0
    Max Fragment Size: 1048576 MB
  [/]#

  [/]# bpsturep -label Test_STU1 -odo 1
  [/]# bpstulist -U

    Label:             Test_STU1
    Storage Unit Type: Media Manager
    Host Connection:   HC02
    Number of Drives:  2
    On Demand Only:    yes
    Max MPX/drive:     1
    Density:           dlt - DLT Cartridge
    Robot Type/Number: TLD / 0
    Max Fragment Size: 1048576 MB
  [/]# bpsturep -label Test_STU1 -odo 0
  [/]# bpstulist -U

    Label:             Test_STU1
    Storage Unit Type: Media Manager
    Host Connection:   HC02
    Number of Drives:  2
    On Demand Only:    no
    Max MPX/drive:     1
    Density:           dlt - DLT Cartridge
    Robot Type/Number: TLD / 0
    Max Fragment Size: 1048576 MB
  [/]#


마. 보편적인 Storage Unit의 문제점 해결방안.

  ▶ 외적인 요소 (Device, Network)
  ▶ 내적인 요소 (STU 구성정보 불일치)
  ▶ 이전에 동작한 적이 있는지?
  ▶ Status Code 213
    - bpsched daemon이 사용가능한 Storage Unit을 찾을수 없을때
      나타남
  ▶ Status Code 219
    - 백업을 위해 명확한 STU를 요구하지만 STU가 가용하지 않을때
      나타남

다음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 Configuring Volume Pools
    - volume과 volume pool 을 정의한다.
    - 명확한 NetBackup 작업에 대한 volume pool를 구성한다.
  ▶ Configuring Volume
    - stand-alone과 robotic devices에 volume을 추가한다.
    - robot inventory를 사용하여 volume을 구성한다.
  ▶ Media Management
    - volume을 이동, 변경, 삭제, 지운다.
    - 구성 media관리를 한다.

--------------------------------------------------------

가. volume pools의 예

1). 기본적인 Volume pool

     논리적으로 volume를 묶어논 집합. 백업을 하기위해 해당 policy의
     pool을 확인하고 사용가능한 media가 없다면 scratch pool에 있는
     volume을 사용한다.
     
    - NetBackup

      * 기본적인 volume pool
      * Catalog를 백업학 위해 이 pool에 위치한 volume 사용

    - DataStore

      * 제품에 대한 volume pool

    - None

2). Scratch volume pool

    - optional pool이다.
    - Media manager에 의해 사용가능한 volume이 없는 pool로
       volume이 이동이 된다. 그리고 해당 pool의 member가
       되기도 한다.
    - scratch pool을 만들기 위해서는 pool을 만들경우 체크박스에
       선택만 하면 된다.

3) GUI를 사용한 volume pool 생성

  - Media and Manager Management에서 volume pool에서 만들수
    있다. [5-8, 5-9] 참조

4) vmpool명령을 통한 pool생성

  - # vmpool -add test "설명" ANYHOST -1 -2
     # vmpool -listall -b
     # vmpool -change test "설명" ANYHOST 0 -2
     # vmpool -listscratch
     # vmpool -delete backup2

나. Volume의 구성하기 [5-12]

1). volume의 기초

  ▶ volume은 media ID가 할당된 media(tape, disk , optical disk)이다.
  ▶ volume은 할당이 될때까지 Media Manager에 의해 소유되고 관리된다.
  ▶ 각 volume에는 volume serial number가 할당이 된다.

    EVSN [External Volume Serial Number]
    RVSN [Recorded volume Serial Number]

  ▶ MediaID는 6자로 제약이 걸려져 았다.

    - vm.conf파일에 MEDIA_ID_BARCODE_CHAR 항목을 수정하면
       mediaID 규칙을 만들수 있다.

2). Volume 구성하기

  ▶ Volume pool를 먼저 만든다.
  ▶ volume pool에 media를 할당한다.
  ▶ GUI와 CLI를 사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 configure volume wizard
    - netbackup administrator console
    - text command 명령을 사용한 구성
 * vmadd
 * vmdelete
 * vmquery
 * vmchange

3). Volume 추가하기

  ▶ GUI를 사용하여 robot library에서 inventory robot이란 것을 사용하면
      추가가 된다.
  ▶ [5-16 ~ 5-20 참조]

  - volume은 vmadd 명령을 사용해서 추가할 수 있음

    # vmadd -m cef214 -mt dlt -verbose
    # vmquery -m cef214

  ▶ Inventory robot 명령을 사용해서 추가 할 수 있다.

     - show the contents of the robot
        * robot의 cache memory 에 존재하는 내용을 보여줌
     - compare the contents of the robot with ~
        * catalog와 비교를 함. 하지만 catalog는 업데이트 되지 않음
     - Updata the volume catalog to the new configuration
        * volume 구성정보를 catalog에 저장한다.

라. Move or Change volumes

1). 왜 volume을 이동시키는가?[5-38]

  ▶ volume이 full인 경우이거나 교체를 해야 할 경우
  ▶ volume을 특정한 위치로 옮길경우
  ▶robot이 down되어 volume들을 다른 robot으로 옮겨야 할 경우

2).왜 volume을 변경하는가 ? [change option]

  ▶ mount 횟수를 변경을 하기위해.
  ▶ volume expiration date를 변경하기 위해
  ▶ 다른 volume pool에 volume을 옮기기 위해
  ▶ volume의 설명을 변경하기 위해

3). Netbackup Command Line

  vmquery

  - volume 정보에 대한 volume database를 질의하기 위해 사용
  - volume 의 할당과 비할당을 위해 사용한다.

  [option]

  -h volume_database host
   volume database를 가지고 있는 host의 이름을 보여준다.
  -b
   volume 정보에 대해 명확한 출력을 보여준다.
  -w
   volume 정보에 대해 wide output[옆으로 펼쳐진] 출력을 보여준다.
  -a
   모든 volume을 보여준다.
  -m media_id
    해당 media ID를 가지는 volume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v volume group
    volume group에 해당하는 volume들을 질의한다.
  -rn robot_number
    robot number에 해당하는 volume을 질의한다.
  -rt robot_type
    robot type를 가지고 해당하는 volume을 질의한다.
  -mt media_type
    media type를 가지고 해당하는 volume을 질의한다. [5-39 참조]
  -p pool_number
    pool_number를 가지고 해당하는 volume을 질의한다.
    pool number는 volume pool에 대한 index [vmpool -listall]
  -p pool_name
    pool name를 가지고 해당하는 volume을 질의한다.

마. Deleting Volumes

  ▶ 반복되는 에러로 사용할 수 없을때
  ▶ expiration date가 지났거나 너무 많이 mount되었을때 
  ▶ 잃어버렸거나 Volume catalog에 내용을 제거하길 원할때

  [주의]

  ▶ delete를 하기전에 volume안에 중요한 정보가 없는지 확인
  ▶ assign된 volume은 제거할 수 없다.
  ▶ "bpexpdate -m mediaID -d 0"  
    - 명령을 사용하여 unassign할 수있다.
    - tape에 모든 기록은 제거된다.

1). GUI를 사용하여 Volume을 제거하기

  - Media Management의 Media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volume을
     선택하여 제거할 수 있다.

2). vmdelete 명령을 사용하여 volume 제거하기

  - volume catalog에 해당되는 기록을 제거한다.
  - vmdelete -m cef214
  - vmdelete -?

3). Erasing Volumes

  ▶ shot erase

    - tape header를 덮어쓰기 함

  ▶ long erase

    - 알려진 data pattern으로 전체를 덮어쓰기 한다.
    - 시간이 오래 걸린다.
     volume를 erase하기 전에 해당 volume이 unssigned 상태이어야 한다.

  ▶  Label the Volume

    - tape에 새로운 media name를 부여한다.
    - ltid Daemon이 반드시 활성화 상태이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