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default/kbd

#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to disable keyboard or serial device
# abort sequences:
#KEYBOARD_ABORT=disable

주석풀면 키보드 빼도 동작


kbd -i 하면 적용

또는
kbd -a disable    stop+a 지원 안됨 , ok 모드 허용하지 않음
kbd -a enable      stop+a 지원됨 , ok 모드 허용

kbd -c on            키보드 칠때 소리남
kbd -c off            키보드 칠때 소리안남

kbd -r                키보드 리셋
kbd -t                  키보드 타입 확인
1. 부팅시 CDE(Xwindow) 자동으로 띄우지 않기 (disable auto-start)
root# /usr/dt/bin/dtconfig -d 

2. 콘솔 터미널 상태에서 CDE 띄우기
root# /usr/dt/bin/dtlogin start

3. 부팅시 CDE 자동으로 띄우기 (enable auto-start)
/usr/dt/bin/dtconfig -e

기타...

/usr/dt/bin/dtconfig -kill (kill dtlogin)
/usr/dt/bin/dtconfig -reset (reset dtlogin)
/usr/dt/bin/dtconfig -p (printer action update)
/usr/dt/bin/dtconfig -inetd (inetd.conf /usr/dt daemons)
/usr/dt/bin/dtconfig -inetd.ow (inetd.conf /usr/openwin daemons)

4. CDE가 제대로 뜨지 않을때 체크사항
root# /etc/init.d/rpc start
/etc/inetd.conf 파일내의 dt관련 데몬 3개 띄워줘야함
------------------------------------------
100083/1 tli rpc/tcp wait root /usr/dt/bin/rpc.ttdbserverd rpc.ttdbserverd
dtspc stream tcp nowait root /usr/dt/bin/dtspcd /usr/dt/bin/dtspcd
100068/2-5 dgram rpc/udp wait root /usr/dt/bin/rpc.cmsd rpc.cmsd

5.CDE화면에서한글이 깨질경우
/usr/dt/config/Xconfig 화일 중
# Dtlogin*language: 를 다음과 같이 고친다
Dtlogin*language: ko

수정시 유의 사항
-Dtlogin앞에 공백이 있어서는 안된다.
-Dtlogin*language: 과 ko 사이는 반드시 space키가 아니고
tab키로 띄운다.
윈도우에도 업데이트가 있듯이 솔라리스도 업데이트가 있습니다. 이미 잘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http://sunsolve.sun.com/private-cgi/show.pl?target=patchk
이 사이트로 가면 패치체크 툴이 있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패치체크 툴을 다운받구요 , 압축이 되어 있으니 압축을 풀어주세요.

두번째로 cross-reference file을 받는데요.
이게 원래는 TXT라서 그냥 클릭하면 브라우저에서 열려버립니다.
그러니깐 Shift를 누른상태에서 클릭한뒤 Save AS... 하셔서
patchdiag.xref 란 이름으로 패치체크툴의 압축을 해제한곳에 저장합니다.
다운을 받으면은 .xref.txt 파일로 받기 때문에 확장자 .txt 삭제 해야 합니다.
만약 다운로드 받기가 어려우면 첨부파일에 있는 파일을 다운 받아 사용 하면 됩니다.

(e220>root)/data# unzip patchcheck.zip
Archive:  patchcheck.zip
  inflating: patchcheck_1.2.tar.gz 
  inflating: patchdiag.xref         
(e220>root)/data#

  사이트에서 다운 받은 파일을 unzip 으로 압축을 풀고.......

(e220>root)/data#
(e220>root)/data# gunzip -d patchcheck_1.2.tar.gz
(e220>root)/data# tar xvf patchcheck_1.2.tar
x patchcheck_1.2, 0 bytes, 0 테이프 블록
x patchcheck_1.2/COPYRIGHT, 8299 bytes, 17 테이프 블록
x patchcheck_1.2/patchk.pl, 69755 bytes, 137 테이프 블록
x patchcheck_1.2/userguide, 11921 bytes, 24 테이프 블록
(e220>root)/data#

  tar 묶인 파일도 같이 풀어 줍니다.

다음으로 unzip 에 같이 풀었던 patchdiag.xref 파일을 patchcheck_1.2 폴더로 이동 시킵니다.

(e220>root)/data# mv patchdiag.xref patchcheck_1.2

(e220>root)/data# cd patchcheck_1.2
(e220>root)/data/patchcheck_1.2#

(e220>root)/data/patchcheck_1.2# perl patchk.pl -b -l
       
============================= WARNING =============================
The date of the cross-reference (patchdiag.xref) file is Feb/10/06,
while the date reported by your system is Feb/14/06. Processing
of this program will continue, but you may have an out-of-date
cross-reference file. If you are not sure that you have the most
up-to-date cross-reference file, please visit
  http://sunsolve.Sun.COM/private-cgi/patchDownload.pl?target=patchdiag.xref&method=H
or
  ftp://sunsolve.sun.com/pub/patches/patchdiag.xref
to retrieve it, and run this program again.
===================================================================

processing...

위와 같이 perl pathck.pl -b -l 옵션을 주고 실행을 시키면......

The patch report file
  /tmp/patches1139880538.html
has been created. Would you like to open it in your Web browser? (Y|N)Y

Please enter the path to your preferred browser: (enter C to cancel)

There was an error launching the browser.
Please launch the browser manually and load /tmp/patches1139880538.html.
(e220>root)/data/patchcheck_1.2#

하면 웹에서 패치에 대한 정보를 얻어옵니다. 작업이 끝나면, 이파일을 열겠냐고 물어봅니다. yes를 선택합니다.파일이 저장 되는 곳은 /tmp 에 저장이 됩니다. 서버에서 지원하는 네스케이프를 이용 한다면.....열리는 시간이 걸리고.....파일 에러가 나타 납니다.
아니면 클라이언트 PC에서 확인도 가능 합니다.

 설치된 patch 확인.

(e220>root)/data/patchcheck_1.2# showrev -p | grep "113100-01"
Patch: 112785-49 Obsoletes: 113100-01, 113762-02, 112783-01 Requires: 113096-03, 112963-10 Incompatibles:  Packages: SUNWxwfnt, SUNWxwplt, SUNWxwplx, SUNWxwacx, SUNWxwopt, SUNWxwman, SUNWxwpmn, SUNWxwinc, SUNWxwslb, SUNWxwsrv
Patch: 112785-52 Obsoletes: 113100-01, 113762-02, 112783-01 Requires: 113096-03, 112963-10 Incompatibles:  Packages: SUNWxwfnt, SUNWxwplt, SUNWxwplx, SUNWxwacx, SUNWxwopt, SUNWxwman, SUNWxwpmn, SUNWxwinc, SUNWxwslb, SUNWxwsrv

이제부터는 CDE에서 작업을 전부 종료하고, 명령줄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계정은 root로 합니다. 그리고 init s 명령을 내려서 모드를 바꿉니다.
단독사용자 모드로 바꾼뒤에 패치를 하나씩 적용합니다.

(e220>root)/data/patchcheck_1.2#patchadd patch-id
명령어로 하나씩 패치를 해야합니다.
OS가 구버전이거나 혹은 패치가 많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e220>root)/data/patchcheck_1.2#patchrm patch-id
이렇게 하면 패치가 제거됩니다.
▣ 구문: mt [ -f 테이프 장치 이름 ] 명령 [ 반복 횟수 ]

▣ 테이프 명령

  status  -테이프 드라이브의 상태 정보를 표시합니다
  rewind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retension  -테이프를 팽팽한 상태로 만듭니다.
  erase    -테이프 전체를 지웁니다.
  fsf      -지정된 반복 횟수만큼 파일을 앞으로 건너뜁니다.
  bsf      -지정된 반복 횟수 만큼 파일을 뒤로 건너뜁니다.
  eom      -기록된 미디어의 끝부분으로 건너 뜁니다.

 - 반복 횟수는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횟수를 말합니다.기본적으로 mt는 명령을 한 번 수행 합니다. 하나의 명령을 두 번 이상 반복 하려면 반복 횟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 테이프 명령 예제

(e220>root)/#mt -f /dev/rmt/0 status ---> 테이프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e220>root)/#mt -f /dev/rmt/0 rewind ---> 테이프를 되감습니다.
(e220>root)/#mt -f /dev/rmt/0n fsf 2 ---> 첫 번째 두 개의 파일을 건너뜁니다.
(e220>root)/#mt -f /dev/rmt/0n bsf 2 ---> 두 개의 파일만큼 뒤로 건너뜁니다.
(e220>root)/#mt -f /dev/rmt/0 erase ---> 테이프의 내용을 지웁니다.

▣ tar - 테이프 아카이브

▣ 용도: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복원 합니다.디렉토리 구조를 유지하면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일을 백업하는데 사용 합니다.

▣ 구문: tar [옵션] [장치이름] [파일 이름]

▣ 옵션

 c --- tar 파일을 새로 만듭니다.
 r --- 기존 tar 파일을 대체 합니다.
 t --- 테이프 아카이브의 목차를 표시 합니다.
 u --- 업데이트 합니다.
 x --- 추출하거나 복원 합니다.
 v --- 자세한 정보를 표시 합니다.

▣  tar 예제

(e220>root)/#tar cvf /dev/rmt/0n /export/solo

  ---> /dev/rmt/0n 테이프에 /export/solo 의 테이프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e220>root)/#tar tvf /dev/rmt/0n

  ---> /dev/rmt/0 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
      /etc                    /export/solo              /usr                        /var

 위와 같이 한개의 테이프에 네개의 백업 point 가 존재 할경우

  ---> /usr 출력.
  (e220>root)/#mt -f /dev/rmt/0 fsf 2 ----> 첫 번째 두 개의 파일을 건너뜁니다.
  (e220>root)/#tar tvf /dev/rmt/0 ----> /usr 에 대한 목록 출력.


        ●------------------●-----------------●------------------●
      /etc                    /export/solo              /usr                        /var

  한개의 테이프에 네개의 백업 파일 생성

  (e220>root)/#tar cvf /dev/rmt/0n /etc
  (e220>root)/#tar cvf /dev/rmt/0n /export/solo
  (e220>root)/#tar cvf /dev/rmt/0n /usr
  (e220>root)/#tar cvf /dev/rmt/0n /var

 뒤에 붙은 /dev/rmt/0n ---> n 옵션은 백업 및 복구 했을때 테이프를 되감지 않습니다.

 [n 옵션을 하지 않았을 경우.]

  (e220>root)/#tar cvf /dev/rmt/0 /etc  ---> n 옵션이 없을경우 처음으로 돌아감.
  (e220>root)/#mt -f /dev/rmt/0 fsf 1  --->백업한 /etc 다음으로 테이프 이동.
  (e220>root)/#tar cvf /dev/rmt/0 /export/solo ---> 백업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감.
  (e220>root)/#mt -f /dev/rmt/0 fsf 2 ---> 백업한 /export/solo 다음으로 이동
  ........

  테이프 한개에 여러개를 백업 할경우 n 옵션 이용......^^


        ●------------------●-----------------●------------------●
      /etc                    /export/solo              /usr                        /var

  (e220>root)/#tar xvf /dev/rmt/0 /etc ---> 백업한 /etc 를 /etc 폴더로 복구
  (e220>root)/#tar xvf /dev/rmt/0 /usr
  (e220>root)/#tar xvf /dev/rmt/0 /var

▣  ufsdump 및 ufsrestore

▣  용도: 파일 시스템,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백업하는데 사용 , 전체 백업이나 증분 백업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구문: ufsdump [옵션] [장치 이름] [덤프할 파일]

▣  옵션

0 ~ 9  덤프 레벨 옵션을 지정합니다.
      레벨 0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전체 백업을 수행합니다. 레벨 1 ~ 9는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u      현재 백업의 날짜와 덤프 레벨을 /etc/dumpdates 덤프 기록에 업데이트합니다.
f      파일이 쓰여질 장치를 지정합니다.이 옵션은 장치 이름이 필요합니다.
v      테이프에 있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고 검사합니다.

▣  ufsdump 예제

    /dev/dsk/c0t0d0s0    10078668 6381680 3596202    64%    /
    /proc                      0      0      0    0%    /proc
    mnttab                    0      0      0    0%    /etc/mnttab
    fd                        0      0      0    0%    /dev/fd
    swap                2912176      32 2912144    1%    /var/run
    swap                2918048    5904 2912144    1%    /tmp
    /dev/dsk/c0t0d0s5    3008176  363956 2584057    13%    /data
    /dev/dsk/c0t0d0s6    2383077  64678 2270738    3%    /data1



  (e220>root)/#ufsdump 0uf /dev/rmt/0 /data ---> /data 파일 시스템을 /dev/rmt/0 로
  전체 덤프 합니다.

  --> (e220>root)/#ufsdump 0uf /dev/rmt/0 /dev/dsk/c0t0d0s5 변경 가능.

  (e220>root)/#ufsdump 1uf /dev/rmt/0 /dev/dsk/c0t0d0s5 --> /dev/dsk/c0t0d0s5 파일 시스템을 /dev/rmt/0로 덤프합니다. 이 명령은 레벨 1의 증분 백업을 수행합니다.

▣  ufsrestore 예제.

▣  용도: ufsdump 명령으로 만들어진 백업본에서 파일을 복구하거나 추출하는데 사용합니다.

▣  구문: ufsrestore [옵션] [장치 이름] [복원할 파일]

▣  옵션

  i      대화형 모드로 파일을 복원합니다.
  r      백업 전체를 복원합니다.
  t      백업의 목차를 표시합니다.
  x      명령행에서 지정한 파일을 복원합니다.
  f        /dev/rmt/0과 같이 장치 이름을 지정합니다.
  v      파일을 복원하고 있는 경로 이름을 표시합니다(세부 정보 표시 모드).


        ●------------------●-----------------●------------------●
      /etc                    /export/solo              /usr                        /var


  (e220>root)/#ufsrestore xvf /dev/rmt/0 /etc ---> 현재 위치의 /etc 파일을 /etc 로 복원
  (e220>root)/#ufsrestore ivf /dev/rmt/0 /etc ---> 복원할 파일 선택
  (e220>root)/#ufsrestore rvf /dev/rmt/0 ./etc ---> /etc 파일 시스템을 현재 디렉토리로 복원
  (e220>root)/#ufsrestore tvf /dev/rmt/0 /etc ---> 테이프 목차 확인.

dump는 파일시스템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고 tar는 디렉토리 단위로 백업을 받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이해 해야 한다.

dump를 이용한 파일 시스템 백업 / 복구

  • ufsdump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0 - 9

덤프 레벨로 '0'은 완전한 백업이고 '1-9'는 점진적 백업을 말하는 것으로 /etc/dumpdates를 기준으로 점진적 백업을 한다. 

u

/etc/dumpdates를 기록한다.

a file_name

덤프 기록 파일을 작성한다. 어떤 파일들이 덤프되었는지 기록한다.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덤프 파일에 기록한다. (default : /dev/rmt/0) dump_file은 테이프 장치이거나 그외의 표준 출력장치일 수 있다. hostname:device 표기법을 사용하여 원격 시스템에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S

주어진 옵션에 따른 백업 크기 측정, 실제 백업은 하지 않는다. 백업하기전에 얼마나 큰 용량을 가진 장치가 필요한지 알아볼때 유용하다.

w

/etc/dumpdates 를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백업되지 않은 /etc/vfstab 내의 ufs파일 시스템을 모두 출력한다.

<Example>  레벨 0으로 dumpdates를 기록하면서 테이프 장치에 /data 파일시스템을 덤프한다.

# ufsdump 0uf /dev/rmt/0 /data

 

  • ufsrestore [option] [arguments] file_system

option

Description

i

대화형으로 복구 한다. UNIX 파일 시스템을 보는 것과 유사 하다.

r

전체를 모두 복구 한다.

t

백업 테이블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x

지정된 파일만을 추출하여 복구 한다. 지정되지 않으면 전체 복구

f dump_file

백업 이미지를 dump_file에서 읽는다 (default : /dev/rmt/0)

a file_name

기록 파일에서 덤프 테이블의 내용을 읽는다.

<Example>  /dev/rmt/0 장치에 있는 덤프 데이터를 현재 위치한 파일 시스템에 복구 한다.

# ufsrestore xf /dev/rmt/0



tar를 이용한 계층 디렉토리의 백업

tar 에는 여러가 지 옵션이 많이 있지만 다음 세가지의 옵션만 사용하여도 된다.

tar [options] [tar_file] [directory]

c : tar_file을 생성한다. tar_file은 파일 이름 일수도 있고 장치명일 수도 있다.
x : tar_file을 복구 한다.
t : tar_file의 리스트를 출력한다.
v : 화면에 작업 과정을 출력을한다.
f : 기록 파일로 다음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백업 Example> 백업 받고 싶은 디랙토리가 /etc 일때

# cd /etc
# tar cvf /dev/rmt/0 ./*                  <-- 테이프 장치로 백업 할때

# tar cvf /home/etc.tar ./*              <--   파일명으로 받을때

<주 의> 여기서 중요한것은 디렉토리 지정을 상대 디렉토리(./*)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tar_file을 복구 할때 자기가 풀고자하는 디렉토리에 할수 있다.

<복구 Example> 복구 하고자 하는 파일이 /etc/named.boot 라면..

1. 우선 /dev/rmt/0 에 /etc/named.boot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 tar tvf /dev/rmt/0

2. 있으면 임시디렉토리를 만들고 그곳에 tar_file을 복구 한후 내용이 맞으면 실제 복구 할곳에 복구 한다.

# cd /tmp
# tar xvf /dev/rmt/0
# more named.boot
# cp named.boot /etc/


tar 사용시 특정디렉토리만 제외하고 백업을 받을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exclude [디렉토리명]


<사용법>

/home/samples 디렉토리를 백업받는데 불필요한 logs 디렉토리를 제외하고 싶을경우

home]# tar cvzf samples .tar.gz --exclude samples/logs samples

TAR로 증분/이어받기 백업하기


1. 증분백업(incremental) 하기

    AIX 기본 tar는 지원을 안하는것 같다. backup 명령이 있긴 하지만, 파일시스템에 대한 증분백업만 가능한것 같다. 아니면, find 명령어로 수정본(몇일동안에 변경된 파일)에 대한 파일 리스트를 입력으로한 tar 백업을 할 수 있을것 같다. 간단히, GNU TAR를 이용해서 해야 할것임. 해보진 않았음


2. 4mm tape에 tar 명령으로 이어받기 -1-

예를들어, /test1 /test2 /test3 이란 디렉토리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은

#tar -cvf /dev/rmt0.1 /test1
#tar -cvf /dev/rmt0.1 /test2
#tar -cvf /dev/rmt0.1 /test3


위처럼 순차적으로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TAPE을 꺼내면 자동으로 rewind 되어 빠진다. no test)


2.1 이어받은 Tape에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 -1-


예를들어, /test2 디렉토리를 복구하는 방법은

#mt fsf 1
#tar -xvf /dev/rmt0.1

또는

#tctl fsf 1
#tar -xvf /dev/rmt0.1

tape에 처음부터 1개의 화일(필자: 백업 시 해드가 멈춘시점)을 읽고 해드를 정지시킨다. 그다음 tar 명령어로 해드가 위치한 곳부터 데이터를 복구한다.


2.2 이어받은 Tape에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 -2-

#tar -tvf /dev/rmt0.1
#tar -xvf /dev/rmt0.1

한번 tape을 풀어보고(-t 사용), 멈춰진 해드에서 데이터를 복구한다.


2.3 이어받은 Tape에 특정파일을 복구하는 방법


예를들어, /test2 디렉토리에 testfile 이란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mt fsf 1

#tar -xvf /dev/rmt0.1 testfile

또 다른방법을 아래와 같이 생각할 수 있지만

#tar -cvf /dev/rmt0.1 /test1
#tar -rvf /dev/rmt0.1 /test2
#tar -rvf /dev/rmt0.1 /test3

-r 옵션을 사용해서 TAPE 에 직접 백업하는것은 불가능하다. AIX 문서에 나와있음.


2.4 이어받은 Tape에 첨부해서 백업하는 방법


먼저 Tape Drive헤드를 보관된 데이터의 끝으로 이동시켜야한다.

dd if=/dev/rmt0.1 of=/dev/null bs=1024k

위 명령어를 이용해서 헤드를 끝으로 옮기고, 그전처럼 백업을 한다.

* Tape에 남은 용량확인 : Tape으로 이어받기를 하는데 남은 용량을 체크하려는것은 어려운것 같다. 나름대로의 백업 프로그램을 만들면 가능할것도 같긴 하지만...

* 보통 이어받기는 잘 안한다. 이어받기를 하는 목적이 tape에 남은 용량이 아깝기 떄문에 그러는 것인데... tape이 비싸거나.. 없어서 그런것도 아닌데..^^; 그리고, tape에 에러가 나면 나머지 데이터들도 위험 할 수 있다.


3. 4mm tape에 tar 명령으로 이어받기 -2-


    백업대상 파일을 파일( *.tar)로 백업을 하고 옵션( -r ) 을 사용해서 추가적으로 파일을 attach 하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이경우 서버에 tar 파일을 임시로 저장할 temp 공간이 필요하다.


4. attach 백업 후 중복 파일 복구는 어느것 부터 되는지?

    가장 최근에 백업을 한 파일이 복구가 된다. 필자가 직접 테스트했음.


5. rmt 장치에 백업된 파일중에 지정파일만 복구 가능?

    가능함. 필자가 직접 테스트했음.



*tar 백업 방법

[sdome 예제]
#tar -cvf /dev/rmt/0m /stand /var /usr /opt /usr/local/lsf /applic

▷ o/s 백업방법 (시스템 운영중에는 안됨)

① DB & Application shutdown 시킴
② Single-user mode로 전환
#shutdown 0
③ O/S 관련 directory만 mount시킴, “bdf” 로 확인
④ #cd  /  (root directory로 이동)
⑤ tape을 드라이브에 넣는다.
⑥ #tar cvf /dev/rmt/0m ./


▷ 일반 데이터 백업


일반적으로 수십 ~ 수백 MB 정도의 데이터를 백업하는데 적합
[예제]  #cd /data ; #tar cvf /dev/rmt/0m .
data를 상대 path로 백업 받음 (#tar cv . 과 같음)
[예제]  #tar cvf /dev/rmt/0m /data
data를 절대 path로 백업 받음
[예제]  #tar rvf /dev/rmt/0m .
기존 tape에 덧붙여 백업 받음
[예제]  #tar tvf /dev/rmt/0m
백업 받은 내용을 tape에서 확인함

* restore 방법

▷ 절대 path로 백업 받았을 시
#tar xvf /dev/rmt/0m
data는 백업 받은 절대 path로 복구된다.

▷ 상대 path로 백업 받았을 시
#cd /data
#tar xvf /dev/rmt/0m
복구하고자 하는 directory로 이동 후 복구


***** tar xvf /dev/rmt/0mn /etc/hosts /tmp

---> 오 놀라워라 tar xvf /dev/rmt/0mn etc/hosts 이래야 되네...



################################################################

HP OS Backup(DDS TAPE)
#make_recovery -AvC /dev/rmt/0mn 
                                  ============== 
                                tape 장치명,생략가능 
복구

▷ O/S 전체 복구


① System을 recovery tape으로 부팅한다.

② 부팅 후 batch mode 및 interactive mode로 복구 할 수 있다.


- Batch mode
백업 받은 disk 에 백업 받은 상태 그대로 복구 시 사용한다. 즉, tape으로 부팅 후 ignite-ux 화면 load 시 interrupt을 걸지 않으면 자동으로 batch mode로 들어가 recovery 작업이 수행된다.
- Interactive mode
tape 으로 부팅 후 ignite-ux 화면 load 시 아무 key나 누르면 interactive mode 로 들어갈 수 있다. Interactive mode에서는 restore 할 disk 지정, O/S file system layout 변경 등 다양한 flexibility를 제공한다.


▷ 일부 파일 복구


① 복구 tape에서 boot image를 skip하고 file 이 백업된 곳으로 이동
#mt -t /dev/rmt/0mn fsf 1
② 원하는 파일 복구
#tar xvf /dev/rmt/0m etc/passwd opt/




################################################################

Ignite-ux server 설정 ( lanbooting 을 위한 설정 )

ignite client 위한 Ignite-ux server 의 DHCP 설정 ( CD booting 이면 아래의 설정 필요없음)


두가지중 편한것을 선택 ( 1) ignite 명령으로 설정하기를 recommend )


1) ignite 명령으로 단계별 DHCP Server 설정

2) /etc/dhcptab , /etc/inetd.conf , /etc/services files 편집


2-1) vi /etc/dhcptab

===========================================================================

dhcp_device_group:\
        class-name=HP_IGNITE_UX_0:\
        class-id="Ignite-UX_centerb":\
        addr-pool-start-address=192.168.0.170:\
        addr-pool-last-address=192.168.0.175:\
        lease-time=7200:\
        lease-policy=accept-new-clients:\
        allow-bootp-clients=FALSE:\
        hn:\
        bf=/opt/ignite/boot/hbp.efi:\
        subnet-mask=255.255.255.0:\
        gw=192.168.0.1


============================================================================


2-2) vi /etc/inetd.conf

============================================================================

#bootps dgram   udp     wait    root    /usr/lbin/bootpd        bootpd
bootps dgram udp wait root /opt/ignite/lbin/instl_bootd instl_bootd
instl_boots dgram udp wait root /opt/ignite/lbin/instl_bootd instl_bootd

============================================================================


2-3) vi /etc/services

============================================================================

bootps        67/udp                 # Bootstrap Protocol Server


2-4) inetd -c ( inetd.conf 변경했으므로 inetd 재시작 )


출처 블로그 > hi.pe.kr 날으는물고기·´″°³о♡
원문 http://blog.naver.com/choibit/140035855382

 #######################
 # Local aliases below #
 #######################
 tech :
 tbox :
"/etc/mail/aliases"
# newalias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WAS 도입으로 얻게 되는 효과
그럼 기업들은 WAS를 왜 도입해야 하는 것일까. WAS를 굳이 도입하지 않고도 e-비지니스를 위한 시스템은 얼마든지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적은 사업 초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일어나지 않지만 사업이 활성화됨 따라 사용자가 늘어가면서 문제는 발생하게 된다. 기하급수적으로 시스템 성능은 저하되고, 점차로 사용자의 불만이 가중돼 시스템의 확장을 검토한다. 하드웨어 서버의 수, CPU 수를 증가시켜보지만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될 뿐이다. 급기야 하드웨어 서버의 다운이 빈번해지고 서비스의 질적 하락과 함께 시스템 도입을 후회하게 된다.

결국 개발업체, 하드웨어 서버 업체 간에는 점차로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되며 서로를 불신하는 상황이 전개된다. 아마도 웹 시스템을 도입한 회사라면 정도는 다르겠지만 이와 같은 상황을 어느 정도 경험했을 것이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기업은 여지없이 WAS 없이 웹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원인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수의 증가에 대한 과도한 메모리의 요구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이 되지 않음
·웹 서버와 DB 서버 간의 2계층 구조 채택
·페일오버(Failover)가 안되고 있음
·보안 문제에 대한 대비가 없음



WAS(Web Application Server)서버의 의미(간략하게..^^)
2006/10/26 오후 2:01 | 보안&네트워크

WAS 라는 것은 J2EE 쪽에서 나온 용어인데요..

사실 Windows 2000 Server 도 WAS 역할을 합니다.

WAS 가 갖추고 있어야할 기능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분산 트랜잭션 기능, 보안기능, 메시징 기능들이 있는데요.
엔터프라이즈급의 대용량 트랜잭션 업무에 적용합니다..

J2EE 에서 EJB 스펙에서 맞게 컴포넌트를 만들었을 경우

이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동해서 위의 기능들을 덧붙여주는 거죠

개발자가 위의 기능들을 각자 코딩을 한다면, 품질도 보장 안되고
생산성도 낮아지겠지요..

요즘은 WAS 에 웹 서버기능까지 포함되어있기도 하죠..

.NET 쪽에서는 COM+라는 것이 있어서 위의 기능을 하구요..
IIS 가 웹서버 역할을 합니다.

J2EE 의 WAS 는 IBM 의 WebSphere 와 BEA WebLogic
국산으로는 jeus 가 있습니다..

각 벤더마다 EJB 스펙을 기준으로 위 기능들을 처리하도록
구현해놓은 것이 WAS 지요..
(출처 : '웹어플리케이션서버 WAS 가 정확히 어떤일을 하나요?' - 네이버 지식iN)


was는 J2EE 스펙을 구현한 서버입니다.

그중에서 특히 주목해야할 건 jsp/servlet Container와 EJB Container로서의 기능입니다.

이중에서도 EJB Container로서의 역할에 비중이 크죠.



가장 많이 쓰이는 WAS는 BEA사의 Web Logic이며, 그밖에도 여러가지의 WAS가 있습니다. 참고로 tomcat 은 jsp/servlet Container의 기능은 구현했으나 EJB Container로서의 기능은 없습니다. 그래서 tomcat은 WAS가 아니라고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application이라 함은 응용프로그램입니다.



응용프로그램이란 어떤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word는 문서작성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며,

포토샵은 이미지 편집/작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web application이란 web에서 어떤 목적을 처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대표적인 웹 어플리케이션으로는 게시판, 쇼핑몰 등이 있겠네요. 아 지금 이곳 지식iN도 웹 어플리케이션입니다. word와 포토샵을 웹으로 구현하면 그것도 웹 어플리케이션입니다만 일반 어플리케이션을 그 상태 그대로 웹에서 실행시킬 수는 없습니다.

미들웨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각 응용 프로그램간의 연계이죠.

미들웨어로서의 WAS는 Web Server와 DB Server 사이에 존재하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 웹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은 DB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web server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죠.

그럼 왜 WAS를 사용하느냐?

한마디로 분산환경에서 사용합니다.

분산환경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트랜잭션 처리인데, 이 트랜잭션 처리를 아주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WAS입니다.

(출처 : 'WAS(web application server) 가 어떻게 쓰이나요?' - 네이버 지식iN)

J2EE 를 구성하는 개별 스펙들은 주로 서비스 API 와 세만틱을 정의한 것이고 어떤식으로 구현할 것인지는 내용이 없습니다. 또한 스펙에 없거나 부족하지만 개발 및 운영시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클러스터링이나 매니지먼트 등)은 각 벤더들이 알아서 만들고 있구요.. 각 벤더별로 특정 부분에 무게를 주어 스펙에 앞서는 기능을 먼저 선보이기도(주로 웹서비스/ESB쪽) 하고 개발자의 요청에 따라 특별한 기능들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들이 WAS 선정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되기도 합니다.

웹로직은 미국의 거대 기업인 BEA 가 만든 것으로 역사도 길고 제품 완성도도 JEUS 보다 낫습니다. 가격이 엄청 비쌌지만 요즘은 거의 덤핑가로 들어가더군요 (JEUS 효과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기술지원의 속도나 수준이 낮은 것이 국내 상황에서의 최대 단점입니다.

JEUS 는 국내 기업인 Tmax 에서 만든 것으로 제품 완성도나 지명도에서 떨어집니다. 하지만 명성/악명 높은 강력한 기술지원력으로 국내 시장에서는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선지 꽤 됐습니다. 가격은 요즘 BEA가 하도 후려쳐서 좀 더 비싸거나 비슷하거나 할겁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