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번 포트에서 어떤 서비스가 돌고 있는지 알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명령을 내렸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 lsof -i tcp:111   엔터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rpcbind          165   root      6u     IPv4     0x30002ab22c0      0t0         TCP *:sunrpc (LISTEN)

질문)

sunrpc라는 놈이 111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것 같은데 맨 앞쪽에 있는 rpcbind의 뜻이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sunrpc를 죽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kill로 말고, 영구적으로요)

실력있는 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백승찬입니다.

# cat /etc/rpc | head
#
#ident  "@(#)rpc        1.17    01/10/30 SMI"   /* Svr4.0 1.2   */
#
# Copyright (c) 2001 by Sun Microsystems, Inc.
# All rights reserved.
#
#       rpc
#
rpcbind         100000  portmap sunrpc rpcbind
rstatd          100001  rstat rup perfmeter

위와 같이 나왔다고 해 봅시다.
rpcbind 라는 것이 rpc서비스를 하는 데몬역할을 하는 서비스구요. 100000이 프로그램 이름이구요. rpcbind는 alias 이름으로 portmap 또는 sunrpc 또는 rpcbind라고 한다고 하는 군요.

그러니까 같은 역할을 하는 놈들을 여러가지로 부르는 것입니다. 같다는 뜻이죠.

 

출처 : 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articleid=100&sc=e0d5351d01452b9a12&clubid=11678574

 

netstat의 State 필드에 표시되는 TCP 상태표시가 갖는 의미.
RFC 793 문서에 있는 TCP 기본 연결, 종료 과정 참고.
 
-----------------------------------------------------------

# netstat -atn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 생략 ...
tcp  0  0 0.0.0.0:25       0.0.0.0:*       LISTEN   <-- 포트가 열렸음
tcp  0  0 192.168.123.10:32799  207.46.106.141:1863  ESTABLISHED <-- 서로 연결중
tcp  0  0 192.168.123.10:32794  218.xxx.xx.xx:22   ESTABLISHED
tcp  0  0 192.168.123.10:32802  207.46.108.46:1863  CLOSE_WAIT <-- 종료 대기중
tcp  0  0 192.168.123.10:33244  211.xxx.xx.x:80    ESTABLISHED
... 생략 ...
-----------------------------------------------------------
 
1) TCP 연결관련 상태
 
* RFC 793문서에 나온 기본적인 TCP 연결 과정

   TCP A                           TCP B

 1. CLOSED                          LISTEN
 2. SYN-SENT  --> < SEQ=100>< CTL=SYN>         --> SYN-RECEIVED
 3. ESTABLISHED <-- < SEQ=300>< ACK=101>< CTL=SYN,ACK> <-- SYN-RECEIVED
 4. ESTABLISHED --> < SEQ=101>< ACK=301>< CTL=ACK>    --> ESTABLISHED
 5. ESTABLISHED --> < SEQ=101>< ACK=301>< CTL=ACK>< DATA> --> ESTABLISHED

LISTEN   : 데몬이 요청을 발을 수 있도록 연결 요구를 기다리는 상태
 즉, 포트가 열려있음을 의미. http(80), mail(25), ftp(21), telnet(23) 등
 위에서 포트 25(mail)이 메일을 받을 수 있도록 열려 있는 상태
 윈도우즈에서는 LISTENING으로 표시
SYN_SENT  : 로컬에서 원격으로 연결 요청(SYN 신호를 보냄)을 시도한 상태
SYN_RECV  : 원격으로 부터 연결 요청을 받은 상태
 요청을 받아 SYN+ACK 신호로 응답은 한 상태이지만 ACK는 받지 못했다.
 netstat로 확인할 때 SYN_RECV가 상당히 많다면 TCP SYN 플러딩(Flooding) 공격일
 가능성이 있다.
 윈도우즈와 솔라리스에서는 SYN_RECEIVED으로, FreeBSD는 SYN_RCVD으로 표시
ESTABLISHED :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
 위에서 192.168.123.10의 포트 32794과 218.xxx.xx.xx의 포트 22(ssh)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

2) TCP 종료관련 상태

* 정상적인 연결 종료 과정

   TCP A                          TCP B

 1. ESTABLISHED                       ESTABLISHED
 2. (Close)
   FIN-WAIT-1 --> < SEQ=100>< ACK=300>< CTL=FIN,ACK> --> CLOSE-WAIT
 3. FIN-WAIT-2 <-- < SEQ=300>< ACK=101>< CTL=ACK>   <-- CLOSE-WAIT
 4.                    (Close)
   TIME-WAIT  <-- < SEQ=300>< ACK=101>< CTL=FIN,ACK> <-- LAST-ACK
 5. TIME-WAIT  --> < SEQ=101>< ACK=301>< CTL=ACK>   --> CLOSED
 6. (2 MSL)
   CLOSED                           

FIN_WAIT1  : 소켓이 닫히고 연결이 종료되고 있는 상태. 원격의 응답은 받을 수 있다.
 솔라리스에서는 FIN_WAIT_1로 표시
FIN_WAIT2  : 로컬이 원격으로 부터 연결 종료 요구를 기다리는 상태
 솔라리스에서는 FIN_WAIT_2로 표시
CLOSE_WAIT : 원격의 연결 요청을 받고 연결이 종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
 원격으로 부터 FIN+ACK 신호를 받고 ACK 신호를 원격에 보냈다.
TIME_WAIT  : 연결은 종료되었으나 원격의 수신 보장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
 이 상태를 특히 자주 보게되는 Apache에서 KeepAlive를 OFF로 해둔 경우,
 Tomcat 서버를 쓰는 경우 등
LAST_ACK  : 연결은 종료되었고 승인을 기다리는 상태
CLOSED   : 완전히 연결이 종료된 상태

※ 위의 FIN_WAIT1, FIN_WAIT2, CLOSE_WAIT 3개 상태는 연결 종료를 위해 서로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 나타나는 상태로 이해하면 된다.
  종료 요청을 한 곳에서는 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상태가
  종료 요청을 받는 곳에서는 CLOSE_WAIT, LAST_ACK 상태가 표시된다.

3) 기타

CLOSING   : 연결은 종료되었으나 전송도중 데이타가 분실된 상태
UNKNOWN   : 소켓의 상태를 알 수 없음

솔라리스의 netstat 명령에서는 다음 2개의 상태를 더 표시한다.

IDLE    : 소켓이 열렸지만 binding 되지 않은 상태
BOUND    : listen이나 연결을 위한 준비 상태

 

추가) Time-Wait

먼저 종료를 시킨경우는 Time-Wait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료요청을 하게되변 FIN 을 전송하게 되며

 

Time-Wait 상태

** A가 먼저 종료하는 경우

< four-way handshaking >

   A                                  B

 FIN  ------------------>

       <-----------------   ACK

       <-----------------   FIN

ACK  ------------------>

Time-Wait                      소켓소멸

      ~

소켓소멸

 

 

결론> 발생이유: 마지막 ACK가 소멸 되었을 경우 재전송을 하기 위함

         따라서 재시작시 Bind 에러가 발생하며 이는 적정시간이 흐르면 해제가 된다

        이때 접속되어있는 클라이언트가 패킷을 송신을 하면 Time-Wait 상태를 유지하는 타이머는 재시작된다

       이는 Time-Wait상태가 길어질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한다

해결방안 : 소켓옵션중 SO_REUSEADDR의 상태를 1(TRUE)로 설정한다

                물론, 접속자가 없는 상태에선 Fin메세지를 시작으로 four-way handshaking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

 

LISTEN : 서버의 데몬이 떠서 접속 요청을 기다리는 상태

SYS-SENT : 로컬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SYS-RECEIVED :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부터 접속 요구를 받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했지만 아직 클라이언트에게 확인 메세지는 받지 않은 상태

ESTALISHED : 3Way Handshaking 완료된후 서로 연결된 상태

FIN-WAIT, CLOSE-WAIT, FIN-WAIT2 : 서버에서 연결을 종료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게 종결을 요청하고 회신을 받아 종료하는 과정의 상태

CLOSING : 흔하지 않지만 주로 확인 메세지가 존송 도중 분실된 상태

TIME-WAIT : 연결은 종료 되었지만 분실되었을지 모를 느린 세그먼트를 위해 당분간 소켓을 열어 놓은 상태

CLOSED : 완전히 종료

* Solaris 에서 변경해야 될 파일들

   /etc/nodename              # if you need to change the name of the machine
   /etc/hostname.interface    # eg. hostname.hme0
   /etc/hosts                 # Update to reflect new name
   /etc/nsswitch.conf         # Update if your name resolution
   /etc/resolv.conf    

   # Update if your name servers/domain changed (DNS only)
   /etc/defaultdomain             # set you default domain
   /etc/defaultrouter             # Set the default router's IP
   /etc/inet/networks             # Set your network name
   /etc/inet/netmasks             # Set your network number
   /etc/n/etc/net/ticots/hosts    # For the streams-level loopback
   /etc/ticlts/hosts              # For the streams-level loopback
   /etc/net/ticotsord/hosts       # For the streams-level loopback

* Solaris 에서 IP 변경 작업

   /etc/hosts 파일을 수정함.
   /etc/hostname.hme0 랜카드에 적용되는 호스명을 명시

   $ ifconfig hme0 [ip] netmask 0xffffff00 broadcast + up

   ex)
   --- 영구적인 변경
   $vi /etc/hostname.hme0
   credilist

   $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211.192.191.178 credilist       loghost

   --- 임시변경시 (컴퓨터가 켜져있는 동안, 리부팅되면 정보가 사라짐)
   $ ifconfig -a
   lo0: flags=1000849<UP,LOOPBACK,RUNNING,MULTICAST,IPv4>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hme0: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2
         inet 211.192.191.178 netmask ffffff00 broadcast 211.192.191.255

   $ ifconfig hme0 211.192.191.171 netmask 0xffffff00 broadcast + up

* Solaris 에서 GATEWAY 변경 작업

   $ netstat -rn
   $ route add default [gateway ip]
   $ vi /etc/defaultrouter
   [gateway ip]

   ex)
   --- 영구적인 변경
   $ vi /etc/defaultrouter
   211.192.191.177

   --- 임시적인 변경
   route add default 211.192.191.177


* Solaris 에서 DNS 변경 작업

   ex)
   $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nameserver 211.169.248.153

   $ vi nsswitch.conf
   # hosts: 부분을 수정한다.
   # consult /etc "files" only if nis is down.
   hosts:      files dns

출처 : Tong - J.래빗님의 유닉스,리눅스,솔라리스통

출처 : http://aqua707.cafe24.com/blog/index.php

<file descriptor에 대한 것>

(1) 언제 file descriptor를 변경해야 되는지?
      - 소켓을 사용하는 multi-threaded 프로그램 환경에서 서비스 요청이 동시에
        많이 발생하면, 서비스를 처리하는 accept() 함수가 에러를
        뿌려 주게 되지요. 아래처럼 말이죠.

        "errno=24, Too many open files"
       
          이런 경우 동시에 open() 할 수 있는 파일 갯수의 제한 때문에 변경을
          해 줄 필요가 있지요.

      - system resource를 제한할 수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per-user 또는 per-process 를 기준으로 )

        1> 한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core file size
        2> 한 프로세스의 Heap (process data segment)
        3> 한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file size
        4> 한 프로세스가 생성할 수 있는 file descriptors
        5> 한 프로세스의 process stack segments
        6> 한 프로세스가 초당 사용할 수 있는 cpu time
        7> 한 프로세스의 Virtual memory (mapped address space)
        ** #man getrlimit 해 보면 resource definition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2) file descriptor에 대한 의미
    - 위의 7가지 경우중에서 4>번 file descriptors만이 kernel tunable 변수로서
      조정이 가능합니다. 즉 /etc/system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 os별로 limit 값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os ver  default(soft limit)  default(hard limit)    max(stdio)    max(select())
        ---------------------------------------------------------------------------------
        5.4~5.6          64        1024          256        1024
        5.7(32bit)      64        1024          256        65535
        5.7(64bit)      64        1024          256        65535
        5.8(32bit)      256        1024          256        65535
        5.8(64bit)      256        1024          256        65535
        5.9(32bit)      256      65535          256        65535
        5.9(64bit)      256        65535          256        65535
        ---------------------------------------------------------------------------------
        ** 위에서 32bit 인 경우 max(select())의 경우는 source code에
              아래의 line을 추가한 뒤에 recompile이 필요합니다.
              >  #define FD_SETSIZE 65535
                  #include <sys/select.h>
                  (설명)
                        - FD_SETSIZE : library file descriptor limit 입니다.
                        - library limit값이 조정이 된 후에는 system의 file descriptors
                            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이 값을 /etc/system에 아래처럼
                            추가하는 겁니다. 당연히 reboot 필요합니다.
                            set rlim_fd_cur=1024
                            set rlim_fd_max=65535

        - Berkeley stdio.h를 이용하는 경우(fopen/fclose/fread/fwrite) per-process
          당 open할 수 있는 maximum fd 갯수는 256 입니다.

          DB서버 나 웹서버가 아닌 대부분의 application에서는 256 보다 크게 변경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때때로 이 값이 1024보다 크게 설정했을 경우, select.h
          함수에 선언되어 있는 fd_set 같은 structure 경우는 maximum fd를 1023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memory space의 문제가 야기 됩니다.
          위의 fd_set structure는 select() 함수에 의해서 사용이 됩니다.

          solaris 7,8 등의 경우 현재 돌고 있는 프로세스에 대한 hard/soft  limit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말입니다.

          #plimit <pid> (현재 설정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limit -n <soft>,<hard> <pid> (단, soft limit은 hard limit값을 초과하면 안됨)

(3) file descriptor 변경하는 3가지 방법
    1) ulimit 을 이용하는 방법
      - 이 방법은 현재 쉘에서 soft limit 값만을 변경해 줍니다.
          > default 값 : 64 (SunOS 5.8 미만 버젼)
          > 변경 범위: hard limit 값 < 변경할 값 < default 값(soft limit값)
      - #ulimit -n <변경할 값>
         
    2) setrlimi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 이 방법은 hard and soft limit 모두 변경을 합니다.
          단, hard limit 변경을 위해서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3) /etc/system 파일에 넣어 주는 방법
        - 이 방법은 hard and soft limit 모두 변경을 합니다.
        - set rlim_fd_cur=4096
          set rlim_fd_max=4096
          이런식으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의미)
                > rlim_fd_max : 한 프로세스가 open할 수 있는 파일의 갯수
                                        Hard Limit 임.
                > rlim_fd_cur : 모든 쉘에서 사용하는 기본값
EX500(3500,4500,5500,6500)에서 부팅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Clock TOD does not match TOD on any io board"

Stop-A
를 눌러 PROM mode로 들어간 후 다음 중 하나를 실행


ok copy-clock-tod-to-io-boards    
출처 : http://www.taejinsys.co.kr

해상도 설정(device )

버스구조별 그래픽카드 종류

1. PCI
버스 구조
 
프레임 버퍼 카드: PGX PGX32  
 
이러한 프레임 버퍼 카드들은 sun4u (Ultra) 기기에서만 지원.
+-----------+------------------------------------------------+
|           | PGX                  | PGX32                   |
+-----------+----------------------+-------------------------+
|
설명       |8 또는 24bit Color FB | 8 24bit Color FB     |
+-----------+----------------------+-------------------------+
|
장치       | /dev/fbs/m640        | /dev/fbs/gfxp0          |
+-----------+----------------------+-------------------------+
|
명령       | m64config            | gfxconfig (pgxconfig)   |
+-----------+----------------------+-------------------------+

PGX
해상도 변경 예제
: m64config를 사용하여 1152x900에서 24 비트를 사용하도록 pgx24 설정.
       # m64config -res 1152x900x76 now
       # m64config -depth 24
       # m64config -prconf     :
현재 설치된 그래픽 카드에서 지원하는 모드확인

PGX32
해상도 변경 예제
:
       # gfxconfig -res HORIZxVERTxFREQ
       # gfxconfig -depth <8 or 24>
# gfxconfig -prconf
* pgxconfig
link(Solaris 7기준)

2. UPA
버스 구조(1)
프레임 버퍼 카드: Elite 3D Family

이러한 프레임 버퍼 카드들은 sun4u (Ultra) 기기에서만 지원.
+-----------+-----------------------------------+
|           |Elite3D-m3/      |                 |
|           |Elite3D-m6/AFB   |Elite3D-m6/AFB   |
+-----------+-----------------------------------+
|
설명       |24 비트 컬러 프레임 버퍼           |
+-----------+-----------------------------------+
|
장치       | /dev/fbs/afb                      |
+-----------+-----------------------------------+
|
명령       | afbconfig       |  afbconfig      |
+-----------+-----------------+-----------------+


Elite 3D
해상도 변경 예제
모니터 타입을 76 Hz에서 해상도 1280x1028로 변경.
       # /usr/sbin/afbconfig -res \?
시스템이 지원하는 해상도 확인
       # /usr/sbin/afbconfig -res 1280x1024x76
# /usr/sbin/afbconfig -prconf

2. UPA
버스 구조(2)
프레임 버퍼 카드: Creator Series 1 Family

이러한 프레임 버퍼 카드들은 sun4u (Ultra) 기기에서만 지원.
+-------+-----------------+-------------------+------------------+
|           |Creator Series 1  |Creator Series 2      |Creator Series 3    |
|           |      FFB             |      FFB2                |     FFB2+             |
+----------+--------+---------+---------------+------------------+
|
설명     |            24 비트 컬러 프레임 버퍼                                     |
+----------+-----------------------------------------------------+
|
장치     |/dev/ffb0                                           |
+----------+-----------------------------------------------------+
|
명령     | ffbconfig                                           |
+----------+--------+---------+--------+----------+--------+---------+
|           |Creator |Creator3D|Creator |Creator3D |Creator |Creator3D|
|           |Series 1|Series 1 |Series 2|Series 2  |Series 3|Series 3 |
+----------+--------+---------+--------+----------+--------+---------+

Creator
해상도 변경예제
# ffbconfig -res HORIZxVERTxFREQ   (
옵션동일)

3. SBUS
구조
프레임 버퍼 카드: GX, GXplus, TurboGX, TurboGXplus, ZX, ZXplus
+-----------+-----------------------+---------------+---------+
|           | cgsix family          | leo family    |Sparc 5  |  
+-----------+-----------------------+---------------+---------+
|
설명       |8비트 컬러 프레임 버퍼 |24비트 컬러    |24bit Co |
+-----------+-----------------------+---------------+---------+
|
장치       | /dev/fbs/cgsix        | /dev/leo0     |/dev/tcx0|
+-----------+-----------------------+---------------+---------+
|
설정       | setenv 또는 eeprom    |leoconfig      |setenv   |
|           |                       |               |eeprom   |
+-----------+-----+-----+-----+-----+-------+-------+---------+
|           | GX  | GX+ | TGX | TGX+|  ZX   |  TZX  |  S24    |
+-----------+-----+-----+-----+-----+-------+-------+---------+


SBUS
해상도 변경예제 (cgsix)
# /usr/sbin/eeprom "output-device=screen:1024*768*76"
or
boot prom
에서
ok> setenv output-device screen:1024*768*76
ok> reset

SBUS
해상도 변경예제 (leo)
# /etc/opt/SUNWleo/bin/leoconfig -M  
한후 적당한 해상도로 변경.


*
정리
1.
사용하는 서버의 그래픽카드(Frame Buffer)의 종류를 확인(device check).
# prtconf -F
or
# dmesg |grep screen

2.
확인후 사용하는 서버의 그래픽카드의 지원해상도 확인.
모니터의 지원해상도를 먼저 확인
ex> pgx
인 경우
# /usr/sbin/gfxconfig -res \?
or
모를 경우 썬 홈페이지나 판매업체에 문의(part number 확인).

3.
위에 해당하는 device의 해상도 예제 적용
ex> pgx
인 경우
# /usr/sbin/gfxconfig -res 1280x1024x76
# /usr/sbin/gfxconfig -prconf

4.
위의 모든 작업은 텍스트 모드에서 하셔야 정상작동 합니다..

*** swap영역 변경 ****

1. # mkfile  50m /swapfile  <-- root 파티션에 swap대용으로 사용할 파일을 생성.(사이즈는 임으로 설정.)

2. #swap -l  <-- 현재 사용중인 swap 영역확인..

swapfile             dev  swaplo 블록   사용 가능
/dev/vx/dsk/swapvol 276,6      16 4189472 4189472

3. #swap -a /swapfile  <-- 생성한 swapfile을 swap 영역에 추가

4. #swap -l

swapfile             dev  swaplo 블록   사용 가능
/dev/vx/dsk/swapvol 276,6      16 4189472 4189472
/swapfile             -       16 102384 102384


5. #swap -d  /dev/vx/dsk/swapvol           <-- 기존에 사용중인 swap영역 삭제..

    --> swap영역삭제시에 현재 사용중인 swap영역 삭제함에 대한 메세지 발생..

         사용중인 swap영역을 삭제함에 대한 메세지임으로 무시가능...


6. #swap -l <-- swapfile만이 swap 영역으로 설정됨을 확인.

swapfile             dev  swaplo 블록   사용 가능
/swapfile             -       16 102384 102384


7. #format   <-- swap파티션을 재 구성



** swap영역 원복 ***

8. #swap -a  /dev/vx/dsk/swapvol          <-- swap 영역을 다시 추가  

9. #swap -l

10.#swap -d /swapfile  <-- 추가했던 swap file영역을 제거

11.#swap -l

 
== disksuit으로 mirror 구성된 o/s disk 강제로 metadb 제거 하는 방법.==
Ok boot cdrom –s
Singuser mode
# format
Searching for disks...done
AVAILABLE DISK SELECTIONS:
0. c1t0d0 <SUN18G cyl 7506 alt 2 hd 19 sec 248>
/sbus@2,0/SUNW,socal@d,10000/sf@1,0/ssd@w2100002037a801b4,0
1. c1t1d0 <SUN18G cyl 7506 alt 2 hd 19 sec 248>
/sbus@2,0/SUNW,socal@d,10000/sf@1,0/ssd@w21000020375b94ae,0
#mount /dev/dsk/c1t0d0s0 /mnt
#cd /mnt/etc/
#cp system system.old
#vi system
----------------- omitted -------------
* Begin MDD root info (do not edit)
forceload: misc/md_trans
forceload: misc/md_raid
forceload: misc/md_hotspares
forceload: misc/md_stripe
forceload: misc/md_mirror
forceload: drv/pcisch
forceload: drv/qlc
forceload: drv/fp
forceload: drv/ssd
rootdev:/pseudo/md@0:0,8,blk
* End MDD root info (do not edit)
----------------- omitted -------------
rootdev:/pseudo/md@0:0,8,blk  <-- 이부분 삭제


#cd /mnt/etc/lvm
devpath lock md.cf md.ctlrmap md.tab mddb.cf runtime.cf
#cp /dev/null md.cf
#cp /dev/null mddb.cf
#cd /mnt/etc
#vi vfstab
--- Vfstab file edit----
/dev/md/dsk/d1 - - swap - no -
/dev/md/dsk/d0 /dev/md/rdsk/d0 / ufs 1 no -
------------------------------------------------------------
/dev/dsk/c1t0d0s1 - - swap - no -
/dev/dsk/c1t0d0s0 /dev/rdsk/c1t0d0s0 / ufs 1 no -
Meta device를 기존의 slice로 변경.
#cd /
#umount /mnt
#reboot -r

+ Recent posts